지하보도·버스정류장 ‘미세먼지프리존’
미세먼지 감지센서 110개 설치 등 힘써
25개 자치구 중 공기가 가장 깨끗한 區
2018년 정순균 강남구청장이 취임한 이후 강남구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사업 중 대표적인 게 환경, 특히 미세먼지 저감 관련 사업이다. 정 구청장은 지난 7일 “환경은 ‘지키면 좋은 것’이 아니라 ‘반드시 지켜야 할 필수조건’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 정 구청장 취임 이후 강남구는 미세먼지 감시센서 110개를 설치하고 다른 자치구보다 두 배 많은 물청소차를 마련해 미세먼지 제거에 힘써 왔다. 그 결과 강남구는 지난해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공기가 가장 깨끗한 곳으로 조사됐다. 구 관계자는 “서울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고 교통량이 많은 강남의 공기가 가장 깨끗하다는 것은 얼마나 환경에 신경을 쓰는 것인지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지하공간도 강남에서는 ‘미세먼지 청정지역’으로 통한다. 정 구청장은 “7호선 청담역 지하 650m 보행구간과 선릉과 역삼지하보도, 양재천 메타세쿼이아길 등에 ‘미세먼지 프리존’을 설치하고 상습 정체구간인 테헤란로를 포함해 버스정류장 12곳에 ‘미세먼지프리존셸터’를 설치했다”면서 “앞으로 도산대로와 학동로 같은 주요 간선도로에도 20개의 셸터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강남구는 당초 내년에 마무리하기로 했던 1529곳의 하수악취 저감사업을 올해 안에 끝낼 수 있도록 5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앞으로 친환경·그린도시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면서 “강남구가 이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롤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1-06-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