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단계적 일상회복 가시화
정 “1~2년 유행… 일상적 바이러스로 진화먹는 치료제는 내년 1~2월 내 도입 목표”
델타 변이 100%·돌파 감염 변수도 여전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을 위한 전제조건인 코로나19 백신 ‘전 국민 70% 접종완료’ 시점을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이르면 다음달 1일 방역 체계 전환이 가시화하고 있다. 하지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검출률이 100%로 나타난 데다, 돌파 감염이 늘어나는 등 변수도 여전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0일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백신 접종 완료율 70% 도달 시점을) 10월 23일에서 25일 사이로 예상하고, (접종 완료율 80%는) 11월 정도에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접종 완료율은 전 국민 대비 66.7%다. 정 청장은 전환 시기와 관련한 질문에는 “결정되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11월 1일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을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검토하고 있다”며 일정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이후 권 장관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2주간 거리두기 평가와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자문을 거쳐 빠르면 1일부터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로서는 방역 상황도 안정적인 편이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1주간 신규 환자는 일평균 1562.3명으로 전주 대비 20.3%(398.6명) 감소했다. 질병청이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단기 예측 결과에 따르면 유행 악화 시 이달 말 하루 확진자가 1400명 수준, 11월 말 1600명 안팎을 오르내릴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돌파 감염 비중이 9월 3주 17.1%→5주 22.9%→10월 1주 27.6%로 오르는 건 악재다. 델타 변이도 최근 1주간 감염 사례 3245건을 분석한 결과 전체에서 발견됐다. 지난 6월 4주차 3.3%에서 3개월 반 만에 100%로 급증한 것이다.
정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그는 “(코로나19는) 1∼2년 정도 유행할 것으로 본다”며 “면역도가 쌓이고 토착화되면 일상적 바이러스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청장은 일상 회복을 위해 필요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의 도입 시기에 대해 “최대한 단축해서 내년 1∼2월 내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당국은 이날 백신 안전성위원회를 설치해 그동안 소극적이라고 비판받아 온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인정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현재 피해보상위원회는 알려진 이상반응에 대해 개별 판단하고 있다”며 “신규 백신에 대한 새로운 이상반응과의 인과성을 검토할 수 있는 안전성위원회를 의학한림원이나 전문 학회와 독립적·객관적으로 만들어 신고된 자료들을 새롭게 분석하고 기준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10-2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