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정책연구원, 공무원 524명 대상 설문조사
고위공무원의 성평등 의식, 전문성 역량에는 평가 후해
민·관 네트워크 운영 등 조직적 역량은 ‘미비’ 답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8일 이슈페이퍼 ‘고위공무원의 성평등 역량 강화방안’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524명(고위공무원 104명, 5급 이하 4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공개했다.
소속 실·국 단위의 성평등을 위한 제도적·환경적 역량을 묻는 질문 9개 문항에 ‘긍정’ 답변은 7.7~31.7% 수준이었다. 특히 ‘성평등 정책을 목적으로 하는 민·관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인력과 예산이 있다’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7.7%만 긍정 답변을 해 가장 응답률이 낮았다. 이어 ‘전문가 배치’(9.6%), ‘민·관 네트워크의 정기적 운영’(12.5%),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존재’(14.4%) 순이었다.
|
고위공무원의 성평등한 조직관리 역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
방법론적 전문성은 책임감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문항이 4개, 나머지 5개 문항은 평균 3.9점이었다. 성별영향평가 및 성인지예산 제도에 대한 인지는 각각 4.2점으로 높게 집계됐으며, ‘성평등 정책 관련 자료를 수집·사용·해석할 수 있는 능력’도 4.0점으로 나타났다.
성평등 역량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남성중심적 조직문화 개선 및 성평등한 조직문화 조성’, ‘고위공무원 후보자 프로그램에 성평등 역량 교육 의무화’가 각각 4.0점으로 첫 손에 꼽혔다. 이어 고위공무원으로 임용된 이후에도 성평등 역량 교육을 정기적·의무적으로 실시(3.9), 고위공무원 후보자에 대한 임용심사위원이 활용할 수 있는 성평등 역량 관련 심사 체크리스트를 개발·적용(3.8)이 언급됐다. 페이퍼를 작성한 김둘순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위공무원단 성과관리 목표 또는 근무성적 평정 등에 성평등 역량 포함해야 한다”며 “전 공무원에 대해 직급별 성평등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계획을 수립·실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