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대가야 고분군은
한반도 최대 삼국시대 고분군봉분 없는 소형 무덤도 수만기 대가야고분군(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을 병풍처럼 감싸는 주산(해발 310m)의 남동쪽 능선 위에 있다. 대가야 왕을 비롯한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봉토분) 700여기가 줄지어 늘어서서 장관을 이룬다.
대가야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서기 400년 전후부터 562년 신라에 멸망할 때까지 160여년간에 걸쳐 조성됐다. 무덤은 해발 160∼180m 구간에 직경 20m 이상의 대형분, 해발 100∼160m 구간에 직경 10∼15m의 중형분이 집중돼 있다. 올라갈수록 규모가 큰 것을 볼 때 왕의 힘이 커지면서 더 높은 곳에, 더 큰 무덤을 만들려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형분의 주위와 능선 사면에는 봉분이 없는 소형 무덤 수만 기가 자리잡았다. 한반도 최대의 삼국시대 고분군이다. 특히 주산 능선 정상부의 44·45호 고분은 우리나라 최초로 발굴된 순장 묘(껴묻이) 왕릉이다. 중국의 순장은 100~200명을 집단으로 묻거나 머리만 따로 묻는 형태인데, 대가야의 순장은 하나의 봉분 주인공과 같은 공간에 순장자들을 매장하거나 별도의 순장곽에 묻었다.
이를 통해 사후에도 현세의 삶이 재현되고, 권력자들은 죽음 이후에도 자신의 권력이 계속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대가야 고분들이 도읍지나 집단 거주지를 감싸는 산이나 구릉에 있는 점도 왕이나 귀족세력이 죽어서도 국가나 자신들의 영토를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령 김상화 기자
2022-04-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