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건너는 ‘배다리’ 디지털 재현
8~9일 행사… 일부 구간 교통통제
창덕궁부터 수원화성을 거쳐 융릉(화성)까지 총 59.2㎞ 중 43.5㎞ 구간에서 1795년 을묘년 원행(園幸)을 재현하는 행사다. 원행은 조선시대 왕이 부모님 산소에 행차하는 일을 말한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1996년 수원시가 능행차의 일부 구간을 재현하면서 시작됐다. 2016년에는 서울시가 참여해 창덕궁~수원화성의 행렬을 재현했고, 2017년부터는 화성시의 참여로 창덕궁에서 융릉까지 전 구간을 재현했다.
서울에서는 200명이 말 20필을 이끌고 강북구간(창덕궁∼종로3가∼세종대로사거리)과 강남구간(노들섬∼금천구청∼시흥5동 주민센터)으로 나눠 행차한다. 이어 수원·화성에서 총 2500명이 말 325필을 끌고 안양∼군포∼의왕∼수원∼화성을 행차한다.
특히 올해 행사에서는 ‘미디어 배다리’로 한강을 건너는 장면을 재현한다. 정조대왕 행렬이 한강을 건널 때 사용한 배다리(배를 연결해 만든 다리)를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로 구현했다. 노들섬 1층 내부에서 잔디광장으로 통하는 중앙통로에 길이 25m, 높이 4m 규모로 설치된다.
조희선 기자
2022-10-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