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international baccalaureate)는 국제공통대학입학자격시험으로써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로 불린다. 이는 영국과 스위스에서 공동 주관하고 있는 국제적인 시험으로 세계적인 명성이 매우 높다.
IB 교육과정이 도입된 고등학교에 입학해서 2년동안 학교를 다닌 후, 시험을 통과할 시 IB증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IB 디플로마에서 획득한 점수는 전 세계 명문 대학을 입학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로 인정되고, 영국 대학의 경우 A레벨 시험과 동등한 효력으로 인정해 전 세계 146개국 4000개 학교 학생들이 IB 과정에 따라 공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IB 교육과정은 객관식 시험이 아닌 서술형 시험이 주를 이뤄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으로 알려져있다. 즉, 서술형 및 논술형 확대로 이어짐을 뜻한다.
그러나 박 의원은 “IB교육과정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표하면서도 ”IB로 인해 기존 논술학원과는 다른 형태의 사교육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걱정을 표했다.
마지막으로 박 의원은 “섣부른 교육정책의 도입은 화가 배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며 “IB교육과정 도입에 신중해야한다”고 하며 마무리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