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기기 휴대 학습 디벗’ 사업은 수시로 휴대하면서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 1인당 1대의 스마트기기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2학년도부터 모든 중학교 신입생에게 보급이 시작돼 연차별로 지급 대상이 확대될 예정인 사업이다.
현재 2022학년도 중학교 1학년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한 디벗 구매 예산은 579억 원에 달해 재정 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나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2023년도부터 예산 절감을 이유로 ’구매‘에서 ’렌탈‘로 사업방식 변경을 추진하려고 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디벗 사업의 예정 원가조사 결과보고서 2022년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요구자료에 따르면 예산이 절감된다는 렌탈사업 기준으로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전환기(중→고교 진학, 고교→졸업)에 학생 개인으로부터 기기를 수거 및 재분배하는 데만 6년 동안 약 12억 원 6천만 원이 넘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환기마다 고정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기 때문에 디벗 사업 자체가 상당한 행정 비용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또한 이 의원은 “디벗 기기 구매 기준으로 산출해 보아도 3년 후 양품화 및 재배치를 위한 예산만 약 24억 7천만 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재정 효율성에 심각한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비용을 포함해 회수비용, 양품화 비용, 재배포 비용 등을 생각하면 향후 기기 지급 대상 학생이 늘어나 이러한 비용은 급격히 늘어 고정지출로 인한 부담이 크게 다가올 것이다. 사업자체의 설계가 잘못된 것이다”라고 하며 이에 대한 시정을 요구했다.
이에 고효선 서울시교육청 정책국장은 “사업 재검토보다는 보완해가는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사업 시행 전 학생이 가지고 있는 개별 기기에서 모두 통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비용을 들였다면 기기 비용 및 그 외 부수 비용이 많이 절감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며 디벗 사업을 다각적으로 검토했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