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술연구원의 통폐합관련 지진안전센터 축소, 폐지 움직임 제동 걸어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박칠성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구로4)은 지난 7일 제315회 정례회 2022년 서울기술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진안전센터의 축소 또는 폐지의 움직임에 대해 지적하는 한편 기술심사담당관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기술용역 타당성 심사로 절감하는 용역비의 급격한 감소에 대해 지적했다.박 부위원장은 서울연구원과의 통합 논의가 진행 중인 서울기술연구원에 대해 지진안전센터의 축소나 폐지 움직임이 있는데 2016년 9월 경주지진, 2017년 11월 포항지진, 2022년 10월 괴산지진으로 알 수 있듯이 서울도 지진 안전지역이 아니므로 지진연구는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부위원장의 ▲서울기술연구원 지진안전센터 운영현황 ▲괴산 지진 이후 새롭게 연구되는 부분 ▲지진안전센터 미충원 인력 문제 ▲지진안전센터 운영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질의에 대해 서울기술연구원장은 지진안전지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견에 동의하고 지진안전센터 조직에 관해서는 기존의 소규모 연구조직을 20명 정도의 중규모 조직으로 개편했고 인프라연구실에서 지진연구를 중단없이 수행하겠다고 답변했다.
특히 박 부위원장은 신도림역 부근의 악취문제에 관련해 악취저감 연구에 대한 계획이 있는지 물었고, 서울기술연구원장은 2023년도 관련 연구계획을 가지고 있고 현장을 방문해 악취원인과 발생원을 측정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기술심사담당관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기술용역 타당성심사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절감액이 198억원인데 절감액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이유와 2022년 심사에서 부적정 건수가 하나도 없는 이유에 대해 지적했다. 이에 기술심사담당관은 반복적인 지적으로 집행부서의 오류가 점차적으로 없어져 절감금액이 감소했고 부적정 건수 관련해서는 잘못 심사한 부분이 없는지 면밀하게 재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