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훈 서울시의원 |
허훈 의원은 “연구용역 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업체 또는 대학교에서 작성, 제출한 과제제안서를 검토해 보니, 기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행연구도 검색 안 해 보고 작성한 제안서, 연구 방법론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연구기간에 비해 수행과제의 범위가 너무 크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 연구 주제에 비해 요청 금액이 큰 경우 등 수많은 부적절한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는 정책개발 연구용역과제를 신청하는 단계에서부터 담당과에서 안내를 충분히 해 부실한 제안서가 접수돼 부결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사무처에 요청하였다.
또한 “시의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용역 결과보고서의 조회수를 살펴보면, 올해 완료된 연구용역의 경우 20~30회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저조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면서 “서버에 기록된 보고서 다운로드 건수를 보면 조회수보다 훨씬 더 적은 과제당 1~4건뿐”이라고 지적했다.
허 의원은 “200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금액으로 정책연구 보고서를 만든다면 보다 신중하게 예산을 집행할 필요가 있으며, 적당한 연구주제로 발주하여 아무도 보지 않을 보고서인데도 아는 기업 또는 교수에게 선심성으로 집행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책개발 연구용역은 서울시의회 의원의 입법 및 정책개발 역량을 제고 하기 위해 조사·연구 등을 수행할 목적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심의위원회의 적정성 심의를 통해 과제당 5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는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진행된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