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규호 의원(중랑2)는 시정질문을 통해 “주최여부와 관계없이 공공과 민간 축제 모두 적용되어야 하는 매뉴얼이 있다”고 밝혔다. 해당 매뉴얼은 2021년 3월 행정안전부에서 발간한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로, “공공·민간 등이 개최하는 소규모 출제에 대해서도 측제의 특성, 위험성, 규모 등을 고려해 적용”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특히, 이 매뉴얼은 만들어진 개발배경이 “압사”사고였다는 것에 충격을 주고 있다.
2005년 10월 3일, 경북에서 있었던 압사사고로 인해 유사한 사고발생을 방지하고 관중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
그러면서, “생명과 안전보호가 1차 목적이어야 할 국가와 지자체가 주최측이 없어 대응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서울시가 존재 이유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임 의원은 “안전한 축제를 즐길 수 있게 보장하지 못한 이번 참사는 서울시의 무관심과 안일함이 가장 큰 원인이다“라고 꼬집으며, ”이번 참사 원인을 사실에 근거해 신속하고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전달해주길 당부하고, 끝까지 책임지는 서울시장의 모습을 시민들과 함께 지켜보겠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