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분자유발언 중인 심미경 서울시의원 |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최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중위권 학생의 붕괴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에서는 연간 7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초·중등을 위한 협력 강사지원,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운영, 기초학력 키다리샘, 두드림학교 등 코로나 대응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하고 있으나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증가는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
5분자유발언 중인 심미경 서울시의원 |
이에 심 의원은 지난 9월 자체적으로 시행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총 19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기초학력 보장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66%가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학력 진단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전체 49%가 필요성에 동의했다. 또한 전체 47.5%의 학생이 학교가 교수 및 학습법 개발 등 공교육 질을 높이는데 시험성적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심 의원은 “우리 학생 모두가 처한 상황과는 별개로 동등하게 교육받고, 또한 동등하게 학력 신장이 이루어지는 것이 교육복지라고 생각한다”라며, 교육복지라는 측면에서 기초학력 증진 문제에 접근할 것을 주장했다.
한편, 지난 10월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이 수립됐고, 올 12월까지 각 시도교육청은 2023년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을 수립·제출해야 한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