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 서울시의원(가운데) |
손목닥터9988 사업은 서울형 헬스케어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일상 속 자기주도 건강관리를 지원해 시민으로 하여금 언제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끔 하는 사업이다.
또한 사업 대상자에게 스마트 밴드와 앱을 제공해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서비스 참여도에 따라 포인트 혜택을 주는 것이 그 골자다. 현재 손목닥터 9988 사업은 1차년도 44억원, 추경에서 128억의 예산을 배정받았고, 내년에는 270억 이상의 예산을 배정받은 상태이다.
이에 김경 의원은 “손목닥터9988 사업은 행정사무감사 기간에 사업의 실효성을 다시 파악하고 그 비용을 감액할 수 있도록 재검토 요청했지만 오히려 예산을 다량 증액해 신청한 이유를 알 수 없다”고 전하며, “손목닥터9988 사업이 기기 구입비, 관리비, 회수비, 매니저 상담비, 시스템 구축비 등 다양한 항목으로 막대한 예산을 써야 할 정도로 필요한 사업인지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이어 김 의원은 “보고 자료를 보면, 손목닥터9988 사업 시행으로 시민들이 스마트 밴드를 착용하자 시민들의 걸음 수가 약 1190보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보행 수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는 민간 앱의 경우를 보면, 웨어러블 기기 착용 여부와 관계 없이 약 1175보의 걸음 증가 통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시민건강국 측에서는, “웨어러블 기기를 가진 시민이 30%가 채 되지 않고,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했을 때 걸음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연구자료도 있다”고 전하며, 실효성을 체감될 수 있게 제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의원은 “당장 시급하게 배정해야 하는 예산이 많고, 조금이라도 예산을 증액해야 큰 도움이 되는 곳이 많은데 실효성이 없는 사업을 확대하는 데 큰 힘을 쏟아서는 안 된다”고 단언하며, “이미 모바일 기기는 거의 전 국민이 갖고 있고, 웨어러블 기기 없이 모바일 기기로 걸음 수를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걸음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통계가 있으니, 손목닥터9988사업의 비용-편익을 재검토해 사업 방향을 변경하거나 예산을 감액해야만 한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