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는 12일 시청에서 도심형 스마트팜 조성과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도심형 스마트팜 조성과 운영 방안 수립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도심형 스마트팜은 도심에서 농작물을 생산하는 식물공장의 일종으로,최근 도시농업이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 인공지능(AI) 등 기술적 진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분야다.
특히 광명시는 3기 신도시를 비롯한 도시개발로 농지 대부분이 감소할 전망이어서 도심형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도시농업 확대를 선제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시는 도심형 스마트팜을 통해 생물 다양성,토양 보전,시민 정서 함양 등 농업이 가진 다원적 가치를 실현해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박승원 시장은 “농업은 디지털 경제사회 전환과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앞으로 기후 위기, 식량 위기, 인구 위기에 대응하는 미래성장산업이 될 것이며, 스마트 농업이 이를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광명시 도시변화에 최적화된 도심형 스마트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