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시 예타 제도 개선 대토론회 개최
현직 서울 구청장 6명 출동 예타 문제점 질타
전문가들 “현재 예타 구조 서울 강북권에 불리”
“바뀌 시대상과 개발 경제적 효과 편익 반영을”
서울시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 토론회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 철도망, 왜 예타 통과가 어려운가’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서울 관내 철도사업과 관련된 관악·동대문·동작·서대문·성북·양천·은평·종로·중랑·강서영등포구 등 11개 구 구청장과 부구청장, 관계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등 최근 서울의 도시철도 건설계획이 예타에 막혀 추진이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예타 제도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를 7일 열었다. 토론회에는 여장권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과 김미경 은평구청장, 이기재 양천구청장, 이승로 성북구청장,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정문헌 종로구청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과 전문가, 시민 200여명이 참석했다. 현재 서울시는 강북횡단선, 목동선, 난곡선, 면목선 등이 예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서울시는 토론회에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해 내년 초 기획재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서울시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 토론회 참석한 구청장들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 철도망, 왜 예타 통과가 어려운가’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최호권(앞줄 왼쪽 첫번째) 영등포구청장과 이기재(두번째) 양천구청장, 김미경(세번째) 은평구청장, 이승로(네번째) 성북구청장이 토론을 듣고 있다. 뉴시스 |
‘도심권 특성을 반영한 교통인프라 경제성 평가 항목 개선방향’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김정화 경기대 교수는 “현재 편익분석에서 여가 활동을 위한 이동은 출퇴근이나 업무를 위한 이동의 3분의 1밖에 편익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 트랜드와 동떨어진 것”이라면서 “시대 상황이 바뀐 부분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한국교통대 김주영 교수는 “예타가 국가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역할을 하는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일본은 도시철도가 시민들에게 주는 운전에 대한 피로도 감소를, 영국은 통행의 질과 간접세수 증가 등을 편입 항목에 포함시킨다. 편익항목에 대한 손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경제성 평가에서 만점을 받기 위해선 비용편익(BC)이 5.7이 나와야 한다”면서 “이런 부분의 개선 없이는 서울 강북권의 도시철도가 예타를 통과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2019년 지역균형발전을 명목으로 추진한 예타 제도 개선이 오히려 서울의 낙후지역에는 불리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2019년 수도권은 예타에서 지역균형발전 항목을 뺐는데 이것이 오히려 서울 강북과 낙후지역 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면서 “교통망 개선을 통한 개발효과를 중심으로 한 평가지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교통문제 해결 요구하는 참석자들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 철도망, 왜 예타 통과가 어려운가’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요구사항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뉴시스 |
현재 예타 제도가 교통망 확충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반영하는데 인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노선을 따라 한국문학관 건설이 예정됐다”면서 “한국문학관은 연간 150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이라고 기재부가 판단하면서도, 교통 수요에서는 반영하지 않는데,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은 “호남선과 강릉선 고속철도(KTX)도 처음에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고 했지만, 현재는 성공한 사업이라고 평가받는다”면서 “잠재적인 편익과 유발수요도 예타 평가에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문헌 종로구청장도 “부암동과 평창동, 상명대 주변의 교통혼잡도는 서울에서도 악명이 높다”면서 “지역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예타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