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해 12월 ‘수요응답형교통 대중교통 서비스(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로 일정한 노선과 운행 시간표가 없는 천안콜버스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천안콜버스’는 승객 실시간 호출 수요에 따라 노선과 시간 등을 탄력적으로 운행하며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지역을 돕는다.
시는 버스 노선 조정이 어려운 지역으로 천안콜버스가 운행하며, 계획보다 많은 평균 1일 280여명이 이용하고 있어 운행 시간 확대를 검토했다. 그러나 개인택시와 전국운수서비스 산업노조는 콜버스 시범사업 철회와 추가확대 계획을 전면 철회를 주장했다.
천안지역 개인과 법인택시 기사 100여명은 지난 1일부터 시청사 앞에서 “천안콜버스 도입으로 택시 수익이 줄어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며 집회를 이어왔다.
이번 합의는 직산읍 천안콜버스 5대는 운행하고 추가 예정이던 콜버스 확대 계획은 전면 재검토로 결정됐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콜버스 운행으로 인한 택시업계와의 마찰을 빠른 시일내에 해소하고 동시에 시민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대중교통의 서비스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