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차도 15cm 침수 시 즉시 차단 등 통제 기준 정비 지난해 7월 15일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친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같은 재난을 막기 위해 경기도가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차도에 자동 진입 차단 시스템을 설치한다.
경기도는 최신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해 지하차도 침수 때 자동으로 진입이 차단되는 시스템을 221개 지하차도에 내년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1차로 도비 175억 원을 들여, 침수 위험도가 높은 77곳에 먼저 설치된다.
221곳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초까지 303개 지하차도를 전수조사한 결과, 진입 차단장치 설치 등 침수 상황을 고려한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 진입 차단 시스템은 지하차도가 침수될 경우 CCTV, 수위계 등 센서를 통해 침수 여부가 자동 감지되고, 즉시 도·시군 재난안전상황실과 도로관리청 담당자에게 통보돼 원격 또는 자동으로 진입 차단시설을 가동,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경기도는 도로 바닥 면에서 15cm 이상 침수가 됐거나 침수가 예상되면 차량 진입을 즉시 통제하도록 행동 매뉴얼을 정비해 지난 4월 각 시군에 전달했다.
추대운 도 자연재난과장은 “여름철 풍수해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강화된 지하차도 침수 피해 예방 대책을 마련했다”며 “지하차도 침수 시 즉각적인 대응 체계를 통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