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부 계획인구 26만·22만명씩
경기硏 “권역별 대책 필요” 보고서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 권역별 계획이 필요하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하나로 수도권 동부와 남부 지역에서 신도시·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다. 수도권 동부 지역의 5개 개발사업 모두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대상 기준인 50만㎡를 넘고, 남양주 왕숙1·2지구는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가장 크다. 남부 지역의 4개 개발사업도 50만㎡를 넘고, 의왕군포안산지구는 5천968㎡로 신도시에 버금가는 규모다.
경기연구원은 광역교통체계 측면에서 수도권 동·남부 신도시와 공공주택지구를 하나의 거대 신도시로 볼 수 있으며, 서울과 각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을 함께 이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수도권 동부 지역 5개 지구에 시도를 잇는 광역도로망을 확충하는 계획이 마련돼 있지 않아 극심한 교통혼잡이 예상된다. 남부 지역의 4개 지구도 개별 지구 단위라 광역 교통인프라 확충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김병관 연구위원은 “불충분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기존 주민뿐만 아니라 새로 입주하게 될 주민의 교통 불편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며 “권역 단위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과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괄 예비타당성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승순 기자
2024-07-19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