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활명수’
아마존 전사를 훈련해 양궁 선수로 만든다는 신선한 설정에도 보는 내내 불편함을 지우기 어렵다. 마치 철 지난 코미디를 보는 듯해서다.
30일 개봉한 영화 ‘아마존 활명수’는 구조조정 위기에 빠진 진봉(류승룡 분)이 금광 개발권을 따내기 위해 아프리카 볼레도르 양궁 대표팀 코치를 맡으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렸다. 진봉은 볼레도르로 향하다 사고로 원주민 마을에 불시착하고 그곳에서 아마존 타가우리 부족 전사 3인방을 만난다. 우여곡절 끝에 그들을 선수로 영입하는 데 성공하고, 한국계 통역사 빵식(진선규 분)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와 훈련을 시작한다.
영화 제목 ‘아마존 활명수’는 아마존에 있는 ‘활의 명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활의 명수와 한국의 양궁을 조합한 설정이 독특하지만 이를 풀어 가는 방법은 그다지 유쾌하지 않다.
영화는 한국을 처음 방문한 아마존 3인방이 청계천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자동차를 괴물로 여겨 공격하거나, 집 안 식탁 다리를 떼어다 모닥불을 피우는 사례 등 이들의 미개함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욕설을 사용한 말장난이라든가, 상황에 맞지 않는 배우들의 표정 연기는 피식하게 만드는 수준이다. 웃긴 장면을 틈새마다 넣으려는 과욕이 큰 웃음을 유발하지 못한 채 번번이 과녁을 벗어난다.
후반으로 갈수록 이야기가 심각하게 진행되지만 유머는 여전히 겉돈다. 숨겨진 음모가 있다는 식의 흐름 역시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결국 클라이맥스에서 위기와 갈등을 급히 봉합하느라 충분한 공감을 끌어내지 못한다.
김기중 기자
2024-10-3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