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에 추가 시추도 안갯속
한국 떠난 ‘대왕고래’ 시추선 동해 심해 가스전(대왕고래 프로젝트) 시추 결과 가스 징후는 있으나 경제성이 있는 수준에는 못 미쳤다고 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혔다. 사진은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지난해 12월 9일 시추지인 대왕고래 구조 출항에 앞서 부산 남외항에 입항한 모습.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 4일 47일간의 시추를 마치고 한국을 떠났다. 부산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대국민 브리핑에서 띄웠던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의 첫 유망구조 ‘대왕고래’에 대한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이 정부에서 나왔다. 첫 시추에서 확보한 시료 및 데이터의 정밀 분석이 남아 있고 세계 최대인 남미 가이아나 유전도 10차례 넘는 시추 끝에 유전이 발견됐던 만큼 성패를 예단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탐사시추 계획을 발표할 당시 예상 성과를 지나치게 부풀렸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정부는 해외 투자를 유치해 추가 시추를 한다는 입장이지만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에서 프로젝트의 동력은 급격히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대왕고래 구조 시추 작업에서 가스 징후가 일부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다만 규모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해 12월부터 동해에 석유·가스 매장을 확인하기 위한 시추 작업을 했다. 경북 포항에서 동쪽으로 40㎞ 떨어진 곳에서 시추를 했다. 정부는 채취한 시료를 일부 분석한 결과 경제성을 판단하는 기준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 관계자는 “탄화수소의 가스포화도 수치가 경제적으로 생산 광구로 전환하거나 추가적인 탐사 시추를 할 정도의 수치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국석유공사는 전문 용역사와 이달 중 계약을 맺고 채취한 자료의 정밀 분석에 들어간다. 정부는 5~6월 중간결과를 발표한다.
정부는 해외 투자를 유치해 남은 6개 유망구조에서 추가 시추를 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사업 신뢰성에 의문을 품고 있어 해외 투자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3월부터 투자 유치를 할 계획이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산업부 관계자는 “입찰을 하고 싶으니 관련 자료를 보여 달라는 복수의 메이저 기업들이 있었다”고 했다.
세종 이주원 기자
2025-02-0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