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심해가스전 전체 실패아냐”
“적어도 5번의 탐사 계획을 밝혀”
대통령실은 7일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석유나 천연가스 같은 자원이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질구조) ‘대왕고래’에 대한 1차 시추에서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결과가 나온 데 대해 “대왕고래에 대한 단정적 결론이 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 대한 탐사 시추도 해봐야 하고, 동해 심해 가스전 전체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탐사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남미 가이아나는 14번, 과거 동해 가스전(생산량 4500만 배럴)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 넘는 기간 동안 11번의 탐사 시추 끝에 성공했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이번 동해 심해 가스전도 발표 당시 적어도 5번의 탐사계획을 밝혔고 나머지 유망구조에 대해서 탐사 시추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서해 보하이해 유전 개발), 일본(대왕고래 인근 동해 시추 재개)에서도 인근 해역에서 국가적 역량을 동원, 석유·가스 개발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정부 예산 지원 없이 해외 투자 유치만으로 추가 탐사를 진행한다면 추후 한국에 불리한 조건으로 진행돼 국익에 손실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앞서 야당은 올해 예산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예산 497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메이저 석유 회사들은 동해 심해 가스전의 개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국정브리핑에서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하며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힘을 받았다. 그러나 전날 산업통상자원부는 1차 시추 결과에 대해 “대왕고래 시추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으나, 경제성을 확보한 수준은 아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해외 투자를 유치해 추가 탐사 시추를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윤 대통령이 부재한 상황에서 프로젝트 동력을 잃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곽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