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부 없는 약 19m…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이관
서울 종로구는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성전 지붕 보수공사 현장에서 국내에서 가장 긴 평고대가 발견됐다고 14일 밝혔다. 이 평고대는 국가유산청 산하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이관됐다.
종로구는 “이번 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18.9m 길이의 이음 없는 단일 목재로 된 평고대는 건축적·학술적 가치가 높다”면서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이관해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학술 연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종로구에 따르면 지난 2023년 9월부터 내년 5월 준공을 목표로 우리나라 보물인 서울 문묘와 대성전에 대한 대규모 목구조 수리를 진행 중이다. 문묘와 대성전은 조선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의 중심이자 공자의 위패를 봉안한 유교 문화의 상징적 건축물이다. 지난 8월 주요 가구부 조립을 마치고 건물의 뼈대인 들보를 올리는 상량식을 열었다.
이번에 발견된 평고대는 한옥의 처마 곡선을 결정한다. 다만 세균과 곰팡이 등 미생물에 의해 변질되거나 손상된 부분이 있어 안전상 다시 사용은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대신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에서 길이 10m 이상, 직경 45㎝ 이상의 대체 목재를 공급받아 구조적 안정성과 원형의 미감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서 발견된 평고대를 보존 처리하고 학술조사를 거쳐 안전하게 수장할 계획이다.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에서는 조선시대 기술자의 작업 흔적을 조사해 전톡 건축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김주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