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는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2021년 최초 인증에 이어 세 번째로 성동구는 2027년까지 ‘스마트도시’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서비스 기술·인프라 등 3개 분야를 종합 평가해 3등급 이상 기관에 인증을 부여하는 ‘스마트도시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성동구는 인구 50만명 미만 중소도시 부문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전국 최초 스마트포용도시 비전 선포와 지방자치단체 최초 국 단위 전담조직인 ‘스마트포용도시국’ 신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마트 정책을 추진해온 점이 높게 평가됐다.
주민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성동형 리빙랩’, 성수동 IT·첨단기업과의 협업 모델 구축, ‘스마트쉼터’ ‘스마트횡단보도’ ‘스마트흡연부스’ 등 생활밀착형 인프라 확충이 대표적이다. 특히 거버넌스 분야에서 리빙랩을 통한 주민 참여 정책이 돋보였고, 첨단 기술·행정·기업을 융합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모델 제시도 주목받았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앞으로도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스마트 사업을 확대하고,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스마트포용도시’ 구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