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결핵관리 성과 공유 및 '결핵 퇴치를 위한 도전과 도약' 심포지엄 개최
- 정부-지자체-의료기관-학회가 협력한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개최
- 결핵관리 우수 보건소 및 의료기관 포상, 민간·공공협력(PPM) 결핵관리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방안 모색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이사장 유광하)와 함께 2025년 11월 4일(화)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2025년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이하 평가대회)」를 개최하여 결핵관리사업에 기여한 유공기관 11개소를 선정·포상한다.
민간·공공협력(Public-Private Mix, PPM) 결핵관리사업(이하 PPM 사업)은 정부와 민간 의료기관이 협력하여 결핵환자를 치료종료까지 철저하게 관리*하는 사업(붙임 1 참고)으로, 2011년 시작하여 우리나라 결핵발생 감소**에 큰 기여를 해왔다.
* 2024년 PPM 사업 참여 의료기관(174개소)에서 결핵환자 76.0% 치료관리
** 결핵 발생: ('11년) 50,491명 → ('24년) 17,944명(△64.5%)
|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 사업(PPM 사업) 개요> - (목적) 정부와 민간 의료기관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결핵환자 치료성공률 향상 등 철저한 결핵 관리 추진 - (내용) 지자체와 PPM 참여 의료기관에 결핵관리전담인력을 배치하고,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치료 완료까지 철저히 관리 - (관리 현황) PPM 참여 의료기관(174개소)를 통해 76% 결핵환자 관리 중  |  

<그림 1> 2001~2024년 결핵 (신)환자 수(율)
|  
 <결핵관리 성과> - 어르신 치료성공률 향상을 위한 'AI 전화서비스 시범사업' 추진('25.7.∼'26.6.) - 외국인 대상 감염병 검진 참여율 제고를 위해 '결핵/HIV/한센병 통합검진' 시행 - 근거기반 정책 추진을 위한 K-TB-N(KDCA-Tuberculosis-NHIS) 개방 등  |  
질병관리청은 이번 평가대회를 통해 지난 1년간 결핵관리 성과가 우수한 기관(9개 지자체, 2개 의료기관)을 포상하며(붙임 2 참고), 결핵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한 보건소 및 의료기관의 노고에 감사를 표할 예정이다.
금년 평가대회에서는 결핵환자 신고·보고 처리 기관 준수율, 환자 관리, 맞춤형 사례관리 및 가족접촉자 조사 실적 등을 평가하여 사업별 최우수* 등 유공기관 11개소에 질병관리청장상을 수여한다.
* 최우수 수상 보건소 : 서울 관악구, 서울 광진구, 서울 구로구, 인천 서구
아울러 일반 국민의 결핵 인지도를 제고하고, 결핵 진단·치료·환자관리 경험 등을 홍보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하여 추진한 「결핵zero 챔피언」 공모전의 최종 선정작 총 11점에 대하여 상장*을 수여한다.
*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3점, 장려상 5점
또한 이번 평가대회에서는 국가결핵관리 성과 및 고령화 사회 결핵환자 치료・관리 재도약을 위한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환자관리 사례를 공유하는 심포지엄도 같이 개최될 예정이다. 세부 내용으로는 ▲고령화 사회와 결핵환자 치료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AI 등 최신 결핵환자 치료와 관리를 위한 세션을 운영하고 마지막으로 ▲외국인, 다제내성 및 취약계층 결핵환자 관리지원 강화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  
 <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개요 > · (일시/장소) 2025.11.4.(화), 10:30~17:00 /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 · (참석대상) 질병관리청 및 지자체, 의료기관, 유관단체 등 약 600명 · (주요내용) ➊결핵관리 우수기관 포상 및 결핵zero 챔피언 공모전 시상, ➋고령화 사회와 결핵환자 치료관리 패러다임 전환 논의, ➌AI 등 최신 결핵환자 치료와 관리 소개, ❹취약계층(외국인, 다제내성 및 사회경제적 취약) 결핵환자 관리·지원 강화 방안  |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평가대회는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 목표(인구 10만 명당 20명 이하 발생) 달성을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할 분야들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고령화 및 외국인 유입 증가 등 환경 변화로 단기간 해결하기 어려운 여건이나 그간 민간과 공공에서 협력한 경험을 살려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붙임> 1.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개요
2. 결핵관리 우수기관 포상 대상기관
3. 「결핵 zero 챔피언」 공모전 수상 내역
4.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세부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