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단체장 출범 이후 생겨난 새로운 인사 풍속도다.인사 때마다 도청 서기관(4급)이나 부이사관(3급)들이 부단체장 로비전에 안간힘을 쏟는다.반면 나갔다 하면 들어오지 않으려고 몸부림친다.
일부 공직자는 부단체장을 전전하다 보니 ‘직업이 부단체장’이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한다.전남도는 보궐선거에 따라 신임지사의 비서실장을 찾고 있으나 하마평 인사들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이 때문에 도청은 인사 숨통이 막혀 있고,부단체장은 ‘단체장 견제’라는 제목소리를 내기는커녕 단체장 눈치보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급기야 도의회에서 의정질의를 통해 부단체장 임기제 도입론이 나왔다.
전남도의 경우 22개 시·군 가운데 부단체장은 순천·여수·목포 등 3개시만 부이사관이고,나머지는 모두 서기관급이다.전남도청에서 과장급 이상만 60여명이다.이 가운데 관행대로 부군수로 나가는 과장급은 총무과장·회계과장·감사관·공보관·법무담당관·기획관 등 7∼8명 정도다.
부단체장은 ‘일인지하’로 단체장 한 사람의 지시만 받으면 되고 지역에서 ‘대우’를 받는다는 점이 매력이다.또 부군수는 수입·지출을 총괄하는 경리관인데다 매월 300만원 가량의 업무추진비가 있고 차량과 운전기사가 제공된다.까닭에 도청 과장이나 하다못해 웬만한 국장보다 일하기 좋은 여건이라는 데 동의한다.
현재 전남도 내 부단체장 가운데 박모씨가 도청에서 나간지 6년이 넘었고,나머지 3∼4명이 4∼5개 지역을 옮겨다니며 4년 이상 일하고 있다.
광주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