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린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구·경북병무청의 민원실 모습.호텔급 수준으로 산뜻하게 리모델링한 민원실에서 민원인이 상담을 하고 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
심장질환에 시달리는 어머니(48)와 중학교 1학년인 여동생(14)과 생활하며 집안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최씨는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하기 위해 지난 3월 대구·경북지방병무청에 문을 두드렸다.하지만 전공이 생명공학인 학생은 의무병으로 분류돼 규정상 현역입대만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절망했다.
그러던 중 최씨에게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병무청이 지난 5월 최씨 한 사람을 위해 규정을 수정했기 때문이다.민원을 접한 대구·경북병무청은 최씨를 돕기 위해 본청에 적성 재분류에 관한 조정신청을 내는 한편 담당자를 끈질기게 설득,1학년인 경우에는 본인이 희망하면 조정이 가능하도록 관련 지침을 바꿨다.최씨는 요즘 매월 100만원을 받고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하며 가족들의 생계를 돌보고 있고,같은 처지의 입영대상자들도 혜택을 보게 됐다.
이는 대구·경북병무청의 열린 민원서비스 사례 가운데 하나다.‘고객감동 병무행정,행복가득 병무가족’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대구·경북병무청은 지난해 민원업무 혁신팀을 구성,과감한 민원서비스 혁신에 들어갔다.우선 민원실을 호텔급 수준의 고객 휴식공간으로 리모델링하고,직원들은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널찍한 민원인 전용주차장을 확보하는 등 청사 환경을 산뜻하게 꾸몄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징병검사 본인선택제’를 도입,거리가 멀거나 교통수단이 불편한 울릉도와 울진군 지역 대상자는 본인이 연중 편리한 시기에 징병검사를 받도록 했다.
또한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징병검사 옴부즈만 제도를 통해 불편사항 발굴에 나서 죄수복을 연상시킨다며,징병검사자들이 입기를 꺼려하는 징병검사 복장(청색)을 바꿔줄 것을 건의했다. 징병검사장 의료시설을 활용,징병검사장 주변에 사는 주민들에게 무료 진료서비스도 실시,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대구 달서구 죽전동 징병검사장 주변의 불우이웃 70여명을 대상으로 CT(컴퓨터 단층촬영)와 병리검사 등 무료 검진을 실시 중이다.이는 지방병무청 가운데 첫 시도다.
이에 대해 장갑수 청장은 “민원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그 속에 해결 방안이 있고 민원서비스의 문제점이 발견된다.”면서 “열린 서비스,친절 병무청 운동을 계속 벌여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