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안상수 인천시장과 측근들에게서 잇따라 터져나오는 탄식이다.지난달 31일 안 시장이 자신의 여동생이 받은 출처 불명의 굴비상자에 담긴 2억원을 시 클린센터에 신고한 뒤 기자간담회를 가질 때만 해도 안 시장의 표정은 무척 밝았다.뇌물로 보이는 거액을 주저없이 신고한 데 따른 스스로의 ‘뿌듯함’이 배어 있었다.방송도 안 시장이 청백리임을 집중부각시키는 등 안 시장이 ‘한건’한 것으로 이 일이 매듭지어지는 듯했다.
●‘뿌듯함’도 잠깐 ‘의혹’ 시달려
그러나 세상인심이란 묘한 것.시민들은 안 시장의 미소가 가시기도 전에 안 시장의 ‘선행’보다는 건네진 돈의 ‘정체’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나아가 관심은 각종 ‘설’을 낳았다.“안 시장은 누가 돈을 보냈는지 알고 있을 것”이라는 인지설이 뜨더니 이내 교감설로 번지기도 했다.밑바탕에는 “단돈 10만원의 뇌물이라도 생색을 내는 것이 이치인데 2억원을 ‘묻지마식’으로 건넸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전제가 자리잡고 있다.
안 시장에게 건네진 돈을 뇌물이 아닌 것으로 보는 시민은 단 한 사람도 없는 것 같다.정·재계에서 공인된(?) 뇌물전달 수법과 너무도 닮은 꼴이기 때문이다.다만 상자가 ‘과일’에서 ‘굴비’로 바뀌었을 뿐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경찰수사로 이어졌다.수사가 진행되면서 안 시장에게 건네진 돈이 뭉칫돈이 아니라 여러 은행 계좌에서 쪼개져 돈세탁 과정을 거친 것으로 드러나자 의혹은 증폭됐다.“이렇게 치밀한 사람들이 그냥 돈을 건넸다는 것은 상상키 어렵다.”는 것이다.일부 언론도 안 시장이 돈을 건넨 사람을 알고 있을 것이라는 식의 보도를 했다.
수사의 칼날은 안 시장측에 겨눠졌다.안 시장 여동생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한 데 이어 안 시장과 여동생의 통화기록을 조사했다.또 안 시장 주변인물 10여명에 대한 통화내역 분석을 통해 돈을 전달했을 만한 업체와 통화한 사실이 있는지를 수사 중이다.아울러 인천시가 2002년 이후에 발주한 공사비 50억원 이상의 관급공사 내역과 2년간 도시계획시설 변경자료를 넘겨받아 용의점이 있는 업체들이 포함됐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클린센터 기능위축 우려도
이같이 생각지 못한 ‘역풍’에 안 시장측에서는 ‘악’소리가 나오고 있다.선의가 왜곡되고,본말이 전도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한 측근은 “출장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누군가 갖다 놓은 돈을 바로 신고했으면 됐지,거꾸로 의심을 산다면 돈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어야 했느냐.”고 볼멘소리다.
특히 이번 사건에 안 시장 일부 지인들이 관련됐다는 소문이 난무하고 있는 데 대해 “순수한 의도로 시작된 일이 정치적인 공세로 사안의 본질이 왜곡되고 있다.”고 경계했다.시 감사실은 이번 사건으로 클린센터의 기능이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감사실 관계자는 “클린센터는 본의 아니게 금품을 받은 공무원을 사법적 문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데 수사 대상이 된다면 누가 신고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안 시장은 이번 사건 전개 양상에 매우 못마땅한 입장을 보이다 지난 4일 출장차 미국으로 출국,13일 귀국했다.현재로서는 일단 이번 사건이 안 시장에게 ‘득’보다는 ‘실’을 안긴 것처럼 여겨진다.하지만 굴비 두름처럼 복잡하게 얽혀가는 이번 사건이 최종적으로 안 시장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다 줄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