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九老)라는 명칭은 옛날에 나이 많은 노인 9명이 장수하며 마을을 평화롭게 다스렸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윤 의원의 선조가 이 9명의 노인 가운데 한명이다.“지난 300여년 동안 구로에서 14대째 살고 있다.”면서 “지금도 120가구 500명의 일가 친척들이 구로구에 거주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의원 출마는 야쿠르트 아줌마의 힘
토박이로서 동네 궂은 일을 도맡아 처리하다시피 하던 윤 의원이 구의원에 출마하게 된 계기도 이채롭다.“지난 1983년 난치병인 ‘중증 근무력증’에 걸린 아내가 몸을 가눌 수 없게 되자 7년여 동안 병수발을 들었다.”면서 “병세가 호전돼 지금은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며 미소지었다.
이같은 사실은 당시 윤 의원의 집을 자주 드나들던 ‘요구르트 아줌마’들의 입을 통해 이웃들에게 알려졌다.
결국 주위의 권유로 지난 1991년 실시된 1대 지방의회 의원선거에 출마, 당선됐다. 당시 윤 의원은 39세로 최연소라는 ‘꼬리표’가 붙었지만,4번의 지방의원 선거를 치른 지금 윤 의원은 최장수 의원으로 바뀌었다.“지역정서를 잘 알고, 이를 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믿고 뽑아주신 것 같다.”며 겸손해 했다.
●홍반장=윤의원
영화 제목처럼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나는’ 사람은 적어도 구로구에서는 윤 의원이다. 심지어 생명까지 지켜준 덕에 윤 의원을 찾는 이웃들도 여러명이다.
윤 의원은 중학교 재학 시절,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려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던 아이를 구했다.“40여년이 지난 지금, 모 대기업의 중견간부로 장성한 그 아이는 지금도 해마다 세배를 오고 있다.”면서 “그 자리에 나 아닌 다른 사람이 있었어도 똑같은 행동을 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84년에는 연탄가스에 중독돼 신음하고 있는 이웃집 모녀를 발견, 이들을 들쳐업고 병원까지 내달려 생명을 되찾아 주기도 했다.
그러나 윤 의원은 이같은 ‘참견’때문에 낭패를 보기도 했다.“동네 공원이 우범지역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밤마다 방범활동을 펼쳤다.”면서 “하루는 10대 청소년 10여명이 공원에서 술을 마시고 있어 이를 나무랐다가 몰매를 맞은 뒤 병원에 입원한 적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이 사건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그 뒤로 호신술을 꾸준히 연마, 결국 지난 1993년에는 공원을 순찰하다가 노상강도를 만나 격투 끝에 붙잡기도 했다.”면서 “사람들을 돕다보면 부자가 된 느낌”이라고 덧붙였다.
●원조 돼지저금통?
현재 구의원에게는 활동비 이외의 급여나 보수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윤 의원에게는 이같은 오지랖 넓은 활동 덕택에 주민들로부터 후원금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른바 지난 대선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희망 돼지저금통’의 원조격인 셈이다.
“거액의 금품은 사양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한푼두푼 모아서 ‘보태 쓰라.’는 말과 함께 건내는 후원금은 거절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주민들을 위해 더욱 열심히 봉사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이어 “아이들로부터는 실속을 챙기지 못한다는 핀잔을 듣기도 하지만, 표현과 달리 묵묵히 뒷받침해주는 모습이 늘 고맙다.”면서 “앞으로도 푼수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봉사할 것”이라며 말을 맺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