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영등포구의회(의장 조길형)가 영등포역을 고속철 정차역으로 만들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 4월 고속철(KTX)시대가 열렸지만 영등포역이 정차역에서 제외되면서 서남권 주민들의 불만이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 국회 청원 이어 서명운동 펼치기로
영등포구의회와 구청은 3일 영등포역을 고속철의 정차역으로 만들어달라는 내용을 국회에 청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구의회는 100만명 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한 데 이어 조만간 궐기대회를 열어 시민들의 참여를 호소할 방침이다.
조 의장은 “서울 서남권 주민들이 고속철을 이용하려면 다른 역까지 이동해야 하는 데다 고속철이 운행되면서 영등포역을 거치는 일반 열차도 줄어 불편을 겪고 있다.”면서 “영등포역에 고속철이 정차하면 고속철 고객이 늘어 철도청 수익이 개선될 뿐 아니라 영등포 지역의 상권이 보다 활성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영등포역은 지하철 1,2,5,7호선을 이용하는 유동인구가 600만명에 달할 정도로 서울 서부 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구의회는 올초 ‘고속철영등포역 정차 결의안’을 21명 의원이 만장일치로 채택한 데 이어 지난 10월 영등포구민 3만 7000명과 영등포·금천·구로·양천·강서구의회 의원으로부터 ‘고속열차 영등포역 정차를 위한 연대서명’을 받아 청와대, 건설교통부, 철도청 등에 건의하기도 했다.
●“광명역은 역할 미흡”
그러나 이 과정에서 광명시와 마찰을 빚고 있다.
광명시민들이 주축이 돼 최근 발족한 ‘고속철 영등포역 정차 반대 광명 범시민대책위원회’는 “4000억원이라는 거액을 들여 건설된 광명역이 단순 정차역으로 이용되며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영등포역까지 생긴다면 광명역은 무용지물로 전락할 뿐 아니라 고속철의 속도도 느려질 것”이라면서 “영등포역 정차방침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등포구의회 관계자는 “서울~용산~광명역 구간이 어차피 저속구간인 만큼 고속철은 유동인구를 고려해 영등포역에 정차해야 한다.”며 “막대한 예산을 들인 광명역이 시민들의 접근성이 낮아 고속철의 적자 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반박했다.
철도청 김천환 고속철도본부장은 “영등포역을 고속철 정차역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 용역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선로용량 등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연구 용역에서 영등포역이 선정된다면 6개월 안팎의 준비과정을 거쳐 일러야 내년말쯤 고속철 정차역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