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거여2동 181번지는 서울의 대표적인 저소득층 밀집 지역. 빈궁한 이웃들이 천막을 지붕 삼아 올린 단칸방에서 온갖 병마와 싸우며 하루하루를 버텨나가는 곳이다.
그러나 이곳에 한줄기 따스한 햇살이 비치고 있다. 서울 대신동 주정빈정형외과 주정빈(朱珽彬·82) 원장을 비롯한 정동의료센터 소속 4명의 ‘슈바이처’들이 2년 전부터 이곳 주민들에게 사랑의 인술(人術)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송파구 거여동 181번지의 슈바이처
정동의료센터는 서울 정동 정동제일감리교회가 운영하는 단체. 주 원장 등 의사 신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됐다. 센터는 80년대부터 중계동 판자촌 주민들에게 무료 진료 활동을 펼쳐 왔다.
센터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중계동 대신 거여동에 새 둥지를 튼 것은 지난해 1월. 주 원장은 기존 중계동센터 팀에 새로 합류했다. 이미 나이 80살을 넘겼지만 사회의 어두운 곳에 방치돼 있는 이들을 돌보고 싶었다.
“젊었을 때는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뛰어다니며 일했지요. 그러다 보니 어느새 의사 생활 60년이 다 됐더라고요. 이젠 병원에서 기다리는 게 아니라 고통받는 이들을 찾아가 아픔을 덜어줘야겠다는 생각에 참가했습니다.”
주 원장은 매주 월요일 오후 2시부터 2시간 동안 진료를 한다. 센터를 찾는 환자는 많게는 하루 20여명. 벌써 2000여명 가까이 주 원장의 손을 거쳤다.
진료 뒤 귀가할 때면 녹초가 되기 일쑤다. 그러나 일주일 동안 그를 기다리는 181번지 주민들을 생각하면 하루도 거를 수 없다. 환자들은 주로 70을 넘긴 고령자들이다. 매일 새벽에 모은 빈 병을 팔아 연명하는 독거 노인들이 대부분이다. 주 원장은 비싼 치료제는 손수 지갑을 털어 마련하고 있으며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왕진진료를 한다.
그러다 보니 환자들이 음료수 등을 감사의 뜻으로 가져오곤 한다. 하지만 선물을 일절 받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하고 있다. 주 원장은 “300원짜리 요구르트 한 병도 이들에게는 하루 수입의 10분의1”이라면서 “무엇이든 사례로 가져오면 센터에 발을 들여놓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사례는 한푼도 받지 않아”
가장 가슴 아픈 일은 센터에서 완전한 치료를 할 수 없다는 것. 주 원장은 “얼마 전 무릎과 허리 치료를 받던 60대 주부가 안 왔기에 알아봤더니 간 질환으로 1주일 사이에 세상을 떴다고 하더라.”면서 “센터에서는 제한적인 치료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게 못내 아쉬웠다.”고 토로했다.
주 원장은 국내 정형외과 학계의 대원로. 지난 44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64년까지 연세대 정형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들을 길러냈다. 또 대한정형외과학회장과 국제정형외과 및 위생학회 한국지회장도 지냈다. 봉사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80년대부터 한국재활재단 이사를 지내는 등 불우한 이웃들을 위해 힘써 왔다.
주 원장의 목표는 181번지 주민들의 마음의 병까지 돌보는 것. 주민의 상당수는 자포자기한 채 술을 위안 삼아 살아가고 있다. 그는 “물질뿐 아니라 행동과 말, 표정 등으로 다른 이들에게 조건 없이 베푸는 게 봉사”라면서 “건강이 허락하는 한 어려운 이웃들의 마음의 상처까지 보듬을 수 있다면 조금이나마 예수를 닮은 삶을 살았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밝게 웃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