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부처 월요일 업무부터 차질
전자결재·메신저·e브리핑 ‘먹통’민원 접수서류 손으로 번호 매겨“온종일 결재를 받으려 서류를 들고 몇 번이나 뛰어다녔는지 모르겠어요. 시스템이 ‘쌍팔년도’로 돌아간 것 같아요.”(사회부처 A 사무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업무 시스템이 마비되자 관가가 대혼란에 빠졌다. 주말 동안 내부 전산망이 복구되지 않은 탓에 주간 업무가 시작된 29일 정부는 아날로그 수기 시대로 후퇴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전자정부 결재 시스템이 멈춰 모든 문서를 수기로 처리 중”이라며 “평소엔 ‘온나라시스템’에서 전자결재를 하지만 지금은 문서를 출력해 직접 서명한 뒤 스캔해 메일로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공직자 통합 메일은 복구됐지만 내부 메신저와 결재 시스템은 여전히 접속할 수 없는 상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월요일에는 세종청사에 간부들이 모여 있어 결재가 가능했지만 화요일부터는 (장차관 등의) 서울 출장이 늘어 수기 결재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부 메신저가 끊겨 ‘과별 공유폴더’를 만들어 임시로 업무를 이어 가고 있다.
부처 브리핑을 생중계하는 ‘e-브리핑’ 사이트도 멈췄다. 한 부처 관계자는 “유튜브나 화상회의로 중계하려 해도 방식이 마땅치 않아 주요 브리핑을 미루고 있다”고 전했다.
노동 민원도 전면 수기로 전환됐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지방 노동청을 직접 방문하거나 팩스로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다. 사건 보고서와 민원 서류도 일일이 손으로 작성해 번호를 매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략물자 심사, 불공정 무역행위 조사, 전기사업 인허가, 광업권 허가 신청 등 대민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인허가 신청을 수기로 받고 결과를 팩스로 통보하며, 한국전력·전력거래소 홈페이지나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해 중요 공지를 알리고 있다.한 사회부처 공무원은 “사태가 정리되면 민원이 밀려올 텐데 이미 번아웃 상태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암담하다”고 토로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부처종합
2025-09-3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