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동은 북악산 남동쪽에 자리잡고 있다.1.49㎢ 면적에 1838세대 4480명이 거주한다.
동 이름은 조선 시대 때 여기에 도교(道敎)의 태청(太淸)·상청(上淸)·옥청(玉淸) 3위(位)를 모신 삼청전(三淸殿)이 있었던 데서 유래됐다. 이곳의 산과 물, 인심이 맑고 좋아 삼청이라 불렸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행정동인 삼청동은 삼청동·팔판동(八判洞)·안국동(安國洞)·소격동(昭格洞)·화동(花洞)·사간동(司諫洞)·송현동(松峴洞) 등 7개 법정동을 끼고 있다. 팔판동은 조선시대에 8명의 판서(判書)가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안국동은 조선 초부터 불리던 안국방(安國坊)이란 호칭에서 따왔다. 화동은 조선시대에 화초를 기르던 관아인 장원서(掌苑署)가, 사간동은 사간원(司諫院)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삼청전의 제사를 지내는 소격서(昭格署)가 있던 곳은 소격동, 소나무가 빽빽이 들어섰던 곳은 송현동이라 불린다.
삼청동의 ‘꽃’은 삼청동 문화거리. 청와대 후문에서 팔각정 쪽으로 향한 길이다. 경복궁 등 고궁을 둘러싼 거리와 함께 화랑과 박물관, 골동품 가게들이 뿜어내는 호젓한 아취가 일품이다. 국제갤러리, 금산갤러리, 학고재, 금호미술관 등 각종 미술관이 경복궁 맞은 편에 몰려있다. 동십자각 근처에는 외국인들을 위한 책·DVD 카페 서울셀렉션, 청와대 후문 근처에는 야외 테라스에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진선북카페가 거리의 멋을 북돋운다.
진선북카페부터 삼청공원 근처까지는 ‘맛거리’. 수제비로 명물이 된 삼청동 수제비, 홍합밥으로 유명한 청수정, 개성 한정식을 맛볼 수 있는 용수산 등이 대표 음식점이다. 스파게티 전문점 수와레, 정통 이탈리아 음식점 빵앤빵, 김치말이국수가 일품인 눈나무집 등은 젊은 층의 단골집. 서울서 둘째로 잘하는 집에서는 단팥죽을, 와인바 까브와 재즈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바 클레 등에서는 술 한잔도 기울일 수 있다.
삼청동 거리 구석구석에도 ‘문화의 보석’이 숨어있다. 삼청동길에서 헌법재판소 쪽으로 걷다 보면 정독도서관 맞은 편에 미술과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아트선재센터가 나온다. 또 정독도서관 옆 서울교육사료관은 삼국시대 이후의 수천여점의 도서와 옷 등을 선보이고 있다. 또 정독도서관 맞은 편 골목길로 올라가면 티베트박물관이 있다. 라마승려의 의상과 복장, 사람가죽과 두개골로 만든 북 등이 전시돼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