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이 지난 2002년 2월 영국 ‘그리픈 호버크래프트사’로터 50억원에 도입한 공기부양정은 바지선 모양인 배의 사각 측면 및 바닥에 서커트가 부착돼 있다. 다량의 공기를 담은 고무 튜브 형태의 서커트는 선체를 부양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선체가 해면에서 1.2m나 뜬 상태에서 운행되기에 해상은 물론 갯벌에서도 통행이 가능하다. 착지시 완충작용을 위해 배 밑에는 랜딩패드 6개가 달려 있다.
인천공항 연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커 썰물 때는 육지로부터 8㎞나 떨어진 곳까지 갯벌이 드러나 소형 경비정조차 운항이 불가능하기에 이같은 특수선박을 도입한 것.
공기부양정은 최대 속력이 45노트(시속 80km)에 달해 기동성 측면에서 어떠한 배에도 뒤지지 않는다. 무게 27t, 길이 21.2m, 폭 11.3m, 높이 7.5m로 민첩성을 요구하는 해상 경비활동을 펴기에 적당한 규모다.
스크루가 없이 배 중간 갑판에 설치된 프로펠라로 추진력을 얻기에 어망·어구 등 해상장애물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조정이 배보다는 헬기 개념에 가깝다고 평가되는 것은 이같은 점 때문이다. 레이더, 통신기, 전자해도 등 첨단장비를 두루 갖추었다. 해경은 이 배의 운항을 위해 2001년 해군에서 오랫동안 공기부양정을 다루었던 김의근(金義根·47)씨를 경사로 특채했다.
공기부양정에는 특공대원 2명을 포함한 해양경찰관 5명과 전경 2명 등 모두 7명이 탑승하며 M-60 기관총 등 화력을 갖추었다. 인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 인근 해상에서 경비활동을 펴고 LNG기지, 저유소, 발전소 등 인천항 일대에 퍼져 있는 임해산업시설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갯벌에서 발생한 응급환자를 수송하고 해상사고시 인명구조 및 실종자 수색을 하는 등 다각적인 활동을 한다. 지금까지 50여건의 인명구조 활동을 폈다.
해경은 공기부양정의 효용이 입증되자 지난해 12월 2호정을 추가로 도입했다. 기존 배와 달라진 점이라면 높이가 1.2m 높아지고 최대속력이 5노트 가량 빨라졌다는 것 뿐이다.2호정 등장으로 근무체제가 격일제에서 상시활동으로 바뀌었다.
2호정 도입 후 1호정에서 2호정 정장으로 자리를 옮긴 김의근씨는 “공기부양정 추가 도입으로 인천공항과 인천항에 대한 경계활동이 강화되고 언제든지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