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4일 “5∼7월 시내 전역에서 발령된 오존주의보는 4일에 걸쳐 모두 16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늘었다.”고 밝혔다.2000년 이후 최대치다.
●평년 두배 이상 발령
서울에서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날은 5월29일과 6월24일,7월22·23일이다. 지난해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날은 5일이었지만 오존주의보가 내려진 횟수는 9회에 그쳤다. 주의보는 4개 권역(북동, 북서, 남동, 남서)으로 나눠 한다. 주의보가 많다는 것은 오존이 시 전역에 걸쳐 심각한 상태라는 뜻이다. 이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0년 22회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2003년 2회에 비해 8배, 지난해 9회에 비해 거의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폭염 가뭄’오존 발생 늘려
지상 오존은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가 햇빛과 반응해 발생한다.
올 들어 오존주의보 발령이 잦아진 것은 더운 날과 대기상에 엷은 안개가 낀 날이 증가한 탓이다. 가뭄도 한몫했다. 오존은 온도 25도 이상, 초당 풍속 2.5m미만, 습도 60% 미만일 때 잘 발생한다.
이처럼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오존은 인체에 해롭다. 오존의 농도가 높아지면 노약자나 어린이처럼 예민한 경우 목이 따끔거리는 증상과 기침, 가슴이 답답한 느낌을 준다. 천식 환자들은 발작을 일으키기도 한다.
●주의보 수도권 집중
오존주의보는 광역자치단체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발령하고, 환경부에서 총괄한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각 자치구에 1대씩 관측기구를 운영 중이다.
발령은 3단계로 이뤄진다. 대기 중 0.12 이상은 주의보,0.3 이상은 경보,0.5 이상은 중대경보가 내려진다. 주의보가 발령되면 호흡기질환자와 노약자, 어린이는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경보는 실외 운동경기와 자동차 운행 제한, 중대경보는 실외 경기 금지와 학교 휴교 및 자동차 통행 금지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오존 노출도는 수도권일수록 심해 올 6월까지 70회의 주의보 가운데 54회나 집중됐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5-8-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