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정류장 가로등에 걸린 화분에서 따온 것. 이들은 꽃을 머리에 꽂고 디지털카메라로 서로를 찍으면서 즐거워했다.
서울시 서대문구가 최근 도로 주변에 설치한 ‘꽃화분’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화분이 가로등에 매달려 있어 ‘가로등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독특한 표현이 생기기도 했다.
서대문구는 도로뿐 아니라 주택가·아파트단지 등에도 꽃화분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가로등에 꽃이 주렁주렁
서대문구는 지난 8월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정류장과 주요 도로에 있는 가로등·난간 등에 8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사피니아, 제라늄, 베고니아, 피튜니아 등 2만 1362개의 꽃을 심은 특수 화분 540개를 설치했다. 자치구로서는 처음이다.
올해는 서대문우체국에서 이대부속중학교 앞 정류장까지의 버스중앙차로 정류장 8곳에는 461개, 연희로·성산로 주변에는 79개의 화분을 설치했다. 화분은 주변의 환경이 건조한 점을 감안해 아래에 물을 담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심지를 통해 꽃이 물을 위로 빨아올리도록 특수제작됐다.
서대문구 공원녹지과 장진수 팀장은 “설치한 지 불과 한달 정도 되었는데도 구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내년에도 성산회관 부근 사천교 등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면서 “종종 일부 주민이 화분을 욕심내 통째로 가져가는 일도 있지만 주민들에게 아름다운 환경을 선사하는 기쁨이 더 크다.”고 말했다.
●아파트 베란다도 ‘꽃단장’
홍제3동 인왕산벽산아파트도 집집마다 베란다에 화분 2∼3개씩을 내놓아 아파트 외벽이 포인세티아, 사피니아 등 알록달록한 꽃들로 꾸며져 있다. 아파트의 230여가구가 동사무소 등을 통해 1개당 1만 2000∼1만 5000원에 구입해 꾸민 것이다. 다행히 아파트가 지어질 때부터 화분 받침대가 있어서 추가 비용은 들지 않았다.
인왕산벽산아파트 주민 최모(43)씨는 “요새 꽃에 물을 주는 재미가 새로 생겼다.”면서 “처음에는 화분 몇개 내놓는다고 해서 크게 달라질 게 없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대부분의 가구에서 화분을 내놓으니 아파트를 바라볼 때마다 골목마다 꽃이 즐비한 유럽을 떠올리게 된다.”고 말했다.
서대문구는 다른 동네에도 꽃화분 설치를 확대하기 위해 화분 받침대 설치 비용(20만원)을 지원해줄 계획이다. 하지만 올해는 내년 선거를 앞두고 ‘선심행정’의 오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선거가 끝난 뒤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시 산하 24개 여성단체 회원 52만 5551명과도 ‘아파트 꽃가꾸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공공청사·학교·문화회관·체육센터 등 총 1979곳이 시범적으로 ‘공공기관 꽃가꾸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