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천과 대모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학교·학원 등 교육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지구내 32개 단지가 있고 재건축을 추진 중인 주요 단지는 개포주공 1·2·3·4단지, 개포시영, 일원현대, 일원대우 등이다.
●지구내 노른자… 단지 규모도 최대
개포동 660의 1 일대에 위치한 개포주공 1단지가 그 중 가장 크다.125개동 11∼18평형 총 5040가구로 지난 1982년 5월 입주했다. 지하철 분당선 구룡역이 도보로 5분 거리이며,3호선 도곡역이 걸어서 8분 거리의 역세권이다. 개원초, 개원중, 개포중, 개포고, 중동고 등 교육시설이 있다.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하나로마트, 영동세브란스병원, 달터근린공원, 개포공원 등 편의시설도 인근에 있다.
1단지는 다른 단지보다 재건축 추진이 빠른 편이다. 현재 조합설립 인가까지 났다.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상태에서는 아파트를 새로 지어 입주할 때까지 조합원은 한 번 팔 수 있지만, 비조합원은 최소 4∼5년간 전매할 수 없다.
비조합원이 지금 산다면 입주 전까지 되팔 수 없어 돈이 묶인다는 것이다. 개포주공 2∼4단지 및 시영은 안전진단까지 통과됐다.
●‘용적률 완화 보류´로 다시 하락세
개포지구는 이달 7일 건교부와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안정을 위해 서울시 의회가 추진했던 재건축 용적률 완화안을 보류키로 하면서 가격이 다시 빠지는 분위기다. 강남구가 올해 초 마련한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용적률 177%로 재건축하면 기대했던 만큼의 수익률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용적률 177%로 재건축을 추진할 경우 현재 총 5층이 12층 규모로 지어지는데,13평형은 25평형짜리로 돌려받는다. 용적률이 200%로 완화된다면 13평형은 33평이 된다.
인근 H공인 관계자는 “층수를 더 올리고 용적률을 더 높여주기 전까지 재건축에 대한 메리트가 없다는 판단이 지배적이어서 당장 재건축 추진이 활발하지 않다.”면서 “그러나 용적률이 조금만 완화되더라도 수익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개포주공 13평형의 경우 8·31대책 이후 4억 2000만원까지 빠졌다가 이달 초 5억 5000만원대를 회복했다. 그러나 재건축 용적률 완화 조치가 불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시 5억원까지 빠진 상태다.2주일 사이에 15평형은 7억원에서 6억 5000만원,17평형은 9억 8000만원에서 9억 5000만원으로 내렸다.
■ 도움말 내집마련정보사 김정용 팀장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