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행정부 1급 이상 공무원 643명의 절반 이상인 326명은 공교롭게도 강남에 땅이나 집이 있다. 일부에서는 집값 안정 정책이 잘 먹혀들어가지 않는 이유로 들기도 한다.
특히 부동산 투기 근절과 시장 안정을 위해 ‘8·31 부동산 종합대책’을 마련했던 주역들이 8·31 대책의 타깃이었던 강남과 목동 등지에 중·대형 아파트를 갖고 있었다.
정문수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본인 명의로 양천구 목동에 신고가격 7억 5650만원짜리 47평 아파트와 4600만원짜리 14.6평 오피스텔을 갖고 있다. 재정경제부 김용민 세제실장은 서초구 아파트 등 10억 5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밖에 재산 등록 대상자 가운데 ▲재경부 11명 중 9명 ▲감사원 12명 중 10명 ▲법무부 9명 중 7명 ▲건설교통부 9명 중 5명이 ‘강남맨’이다. 반면 1급이 5명인 농촌진흥청과 3명인 산림청은 강남에 부동산을 가진 사람이 없었다. 집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고위공직자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관리공단 박판영 이사장이다. 경기도 용인 수지의 아파트를 비롯, 전국에 주택 13채를 소유하고 있다. 농림부 김달중 정책홍보관리실장은 배우자 명의로만 11곳에 아파트와 상가를 갖고 있다.
중소기업청 이승훈 차장도 배우자가 뉴욕에 각각 12억 7000여만원,5억 6000여만원짜리 고급 주택을 갖고 있다.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 526명 가운데 상당수는 급여저축으로 돈을 모았다고 신고했다. 특히 청와대 비서실의 이병완 비서실장을 제외한 8명은 ‘월급’으로만 평균 5000만원 이상을 모았다. 고위직일수록 자기 돈은 쓸 일이 없다는 뜻이라는 해석이다.
이밖에 광주과학기술원 나정웅 원장은 말을 4필 갖고 있다고 신고했다. 국무조정실 박종구 경제조정관은 배우자가 1.3캐럿짜리 다이아몬드 반지와 1.4캐럿 다이아몬드 목걸이 등 9점의 보석을 소유하고 있다. 박 조정관은 금호그룹 박삼구 회장의 동생이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