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남 광양시와 구례군의 채취농가 등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경제사정을 이유로 고로쇠 물을 마시러 오는 손님들이 줄기 시작하면서 채취 농가들이 울상이다.
백운산으로 들어가는 광양시 봉강면 항월마을에 자리한 광양농원 주인 서병섭(44)씨는 “고로쇠 물을 마시러 백운산으로 올라가는 차량만 봐도 예년의 절반으로 줄었는데 택배 주문량은 해마다 늘고 있다.”고 밝혔다. 서씨는 “남자손님 10명이 오면 물값(2통에 10만원)을 빼더라도 염소 1마리와 술 등 40만원어치를 먹는다.”고 말했다.
광양시청 산림과 정민희(39·여) 담당은 “지난해 고로쇠 택배 주문량은 전체 판매량의 13%로 집계됐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며 “보통 물을 통으로 판 돈에 곱하기 4를 해서 간접수익을 계산했지만 지금은 찾는 손님이 적어 3을 곱하기도 힘들다.”고 털어놨다. 지난해 광양시는 봉강·옥룡·다압·진상 등 4개면 290여 농가에서 18ℓ들이 2만 7000여통(48만ℓ)을 팔아 13억여원의 직접소득을 올렸다.
지리산 자락인 구례군 토지면 토지우체국에는 하루 평균 100여건의 고로쇠 물 택배 주문이 접수되고 있다. 민간인 택배 회사들도 앞다퉈 물량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구례군의 경우 지난해 토지·간전·산동·마산·광의 등 5개 면 375농가가 70여만ℓ를 모아 17억여원의 직접매출을 기록했다. 피아골에서 고로쇠 민박집을 하는 최정순(50·여)씨는 “택배 물량이 늘면서 고로쇠 수입이 옛날의 절반으로 뚝 떨어졌다.”고 말했다. 구례군청 환경산림과 관계자는 “고로쇠 채취농가뿐 아니라 인근 식당이나 노래방 등도 고로쇠 특수를 먼 옛날의 얘기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광양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