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깊게 따라 읽기부터
읽기는 두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소리내어 읽는 낭독과 의미를 따지는 독해 두 가지다.
우선 낭독부터 살펴보자.
낭독을 잘하려면 발음과 억양이 중요하다. 연습을 통해 다듬을 수 있다.
이때 연음과 축약, 약하게 발음되는 단어도 있어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들게 되는 만큼 따라 읽을 때, 이런 대목도 놓치지 말고 따라 해야 한다. 또 하나, 같은 문장이라 하더라도 억양을 뒤를 내릴 때와 뒤를 올릴 때가 다르니 이를 구분해서 연습해야 한다.
교재로는 말하기나 듣기에서 사용했던 녹음테이프나 CD 등 음성자료, 영화나 동화사이트, 교과서 CD 등을 활용하면 된다. 보거나 듣고 큰 소리로 따라 읽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발음과 억양을 손을 들어 올렸다 내렸다 하는 식으로 높낮이를 표시하면서 하면 기억하기도 쉽고 지루하지도 않다.
●파닉스 (Phonics)는?
파닉스는 영어의 발음과 스펠링과의 관계를 말한다. 대부분의 영어단어는 파닉스 규칙에 따라 발음된다. 자음과 달리 모음은 여러가지 형태로 발음되는 관계로 이 규칙을 알아놓으면 영어단어 읽기는 물론 정확한 스펠링 공부까지 할 수 있다.
하지만 파닉스는 전문가 도움없이 혼자서 하기는 곤란하다. 이론을 통해서 발음을 공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저학년은 어머니가 옆에서 읽어주고 고학년은 스스로 읽어야
영어책 읽기는 고학년 때가 낫다. 저학년은 부모 등 다른 사람이 책을 읽어주는 것을 듣는 방식이 좋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어머니가 동화책을 읽어주듯 영어동화책을 꾸준히 읽어주는 게 영어공부에 좋다. 만약 부모가 맞벌이 등의 이유로 옆에서 스토리 텔링을 해줄 수 없다면 인터넷 영어학습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어휘 많이 알아야
다음으로 말하기·듣기 공부가 의미중심으로 이뤄지듯 독해도 의미파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어휘를 많이 알아야 한다. 바꿔 말해 단어를 많이 알아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게 되는 영어단어는 500∼700개 정도. 하지만 이 이상을 외워야 한다. 유사어가 많아서다. 동사 원형이 있고 과거형이 있는 식이다. 예를 들어 초등 5학년부터는 과거시제 표현을 배운다. 이 때부터는 동사 원형과 과거형을 함께 외워야 한다. 이렇게 하면 700개보다 훨씬 더 외워야 할 단어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행맨 등 게임 통해 외우는 것도 좋아
단어를 무조건 외우려고 하면 지루할 수 있다. 이때에는 어휘력을 좋게 할 수 있는 게임을 활용하는게 좋다. 초등학생은 성향상 대체로 게임을 좋아한다. 교과서에도 낱말 카드가 부록으로 붙어 있으니 활용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영어를 일주일에 1∼2시간 배우니, 학교에서 해봤던 낱말카드 게임을 집에서 가족이나 친구들과 하면 된다. 돈 안들이고 영어 어휘력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다. 영어단어를 맞히는 이른바 ‘행맨’ 게임도 좋다.
고학년이되면 영어사전도 활용해야 한다. 사전이 없다면 인터넷 사전도 좋다. 한 단어에 딸린 파생어나 이 단어가 문장 속에서 사용되는 예시문을 함께 배우는게 좋다. 예를 들어 play라는 단에에는 ‘놀다’라는 의미이외에도 ‘공연하다’는 의미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얘기다.
문법의 경우, 따로 공부하기보다는 많은 책 읽기와 이를 통한 어휘력 암기, 문장 암기 등으로 자연스럽에 이해하도록 하는 게 초등학생 영어학습단계에서는 중요하다고 한다. 성인들이 10년넘게 따로 문법을 배웠으나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현실을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 도움말 서울교대 부설초등학교 김수정 교사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 도움이 될만한 인터넷 사이트
▲http:///www.freeenglish.co.kr
▲http:///story.lg.co.kr:3000
▲http:///www.littlefox.co.kr
▲http:///www.kizclub.com
▲http:///puzzles.puzzle.com
▲http:///www.jherald.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