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로 일대 동아 양봉원∼갤러리존 부근까지 이어지는 ‘야시골목’은 보세의류와 구두, 허리띠 등 잡화 판매가게 150여개가 몰려 있다. ‘시비 거리’로 조성되는 들안길은 시인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배경이 된 수성호반을 중심으로 꾸며지며 시조와 농요, 현대시 등을 주제로 시비가 설치된다.‘단풍 거리’로 조성되는 두산로 일대에는 이미 식재된 은행나무 외에 왕벚나무를 심고, 도로 중앙분리대에는 야생초를 심는다.
상설할인 의류매장이 몰려있는 범어동 경신고 입구와 그 주변에는 섬유·패션도시의 특성을 살린 ‘로데오거리’로 육성돼 대구의 패션을 이끌어가는 의류쇼핑의 명소로 변신하게 된다.‘대신 금은방거리’는 동산네거리∼큰장네거리 구간으로 70여곳의 점포가 모여있다.
이곳은 1960년대 조성이후부터 손님들이 이어지고 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