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유엔사무총장 인수위에서 활동할 외교통상부의 권기환·최성아·김원수·이상화 외무관(왼쪽부터).주유엔 윤여철 참사관과 함께 유엔의 정식 직원으로서 성공적인 한국인 유엔사무총장 시대를 도모한다. |
반기문 제8대 유엔사무총장의 뉴욕행 장도(壯途)에 동행하는 외교부 ‘4인방’이 31일 뉴욕 출발에 앞서 ‘출사표’를 던졌다. 오는 10일 외교통상부 장관 이임식을 끝으로 본격적인 사무총장 행보에 나서는 반기문 사무총장의 인수위 멤버로 활동할 김원수·이상화·권기환·최성아 외무관. 반 총장과 함께 유엔에 입성해 임기 5년, 나아가 10년(연임 성공시)간 이어질 한국인 유엔사무총장 시대의 성공 발판을 닦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 유엔 대사관에선 윤여철 참사관이 합류한다. 이들은 유엔 소속 직원으로 유엔으로부터 월급을 받는다.
김원수(50·외시 12회) 장관 특보는 8대 사무총장 비서실장이 정해질 때까지 인수위원회를 총괄 지휘한다. 코피아난 현 사무총장측에선 사무국 요원 5∼6명을 보내기로 했다.
한국측 인수위는 반 장관이 유엔사무총장 출마를 선언하기 전부터 현재까지 역사와 실무를 꾀고 있는 이들로 구성됐다. 김 특보와 윤여철(43·18회)참사관, 외교부 유엔과의 이상화(38·25회)·권기환(37·26회)서기관 등이다. 코리아 헤럴드 기자 출신으로 지난해 외교부 홍보담당으로 특채된 최성아(34)서기관은 사무총장 대변인실에 소속돼 세계 각국에서 온 ‘호전적인’언론과 반 총장 사이의 소통을 담당하게 된다. 인수위의 위상과 역할은 막중하다. 취임 100일,1년 그리고 5년을 단위로 반 총장 시대가 만들어낼 유엔의 밑그림을 제시하는 역할이다. 사무차장보(ASG)라는 고위직을 차지한 김 특보는 “유엔 활동의 3대 기둥인 평화와 개발, 인권 분야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유엔 사무국 개혁을 위한 비전을 내년 1월1일 발표한다.”면서 이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2006-11-1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