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가 경기도 안양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시흥대로 언덕에 인공폭포 공원을 조성한다. 놀라울 만큼 큰 폭포는 아니다. 하지만 삭막하고 지저분한 ‘서울의 얼굴’에 시원한 물줄기를 떨구는 폭포와 푸른 숲에 둘러싸인 문화회관이 들어서기 때문에 주민들의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3개 물줄기는 3개동을 의미
‘금천폭포공원’은 시흥동 937번지 박미고개에 1462평 규모로 조성된다. 예정대로라면 내년 12월에는 멋진 폭포를 감상할 수 있다.
인공폭포의 높이는 12m, 폭은 30m. 조금만 고개를 치켜들면 끝이 보이고, 길을 지나는 많은 사람과 차량이 충분히 즐기도록 길이는 낮추고 폭을 넓혔다. 자연스러운 경관을 살리기 위해 나무와 바위 사이로 굵은 3개의 물줄기가 떨어지도록 한다.
3개의 물줄기는 금천구의 가산·독산·시흥 등 3개동을 의미한다. 폭포수가 한데 모이는 아래는 작은 연못이 된다. 인도로 걷다가 폭포에 다가가면 물방울이 얼굴에 튈 수 있을 정도로 길에서 가깝다. 물은 수돗물을 사용하고 펌프를 이용해 자동으로 순환한다.
인공폭포를 병풍처럼 감싸며 푸른 숲이 조성된다. 폭포 뒤에는 작은 광장과 지하 2층, 지상 3층 규모의 문화회관이 들어선다. 지하엔 각종 공연을 할 수 있는 다목적강당을 만든다.1층은 사무실과 회의실,2층은 전통예절교실과 향토문화교실,3층은 강의실과 세미나실이 된다.
●“74억원만 지원해 주세요.”
금천폭포공원이 들어설 부지에는 지은 지 20년 가까이 된 연립주택촌이 있다. 근처에 공원은 물론이고 나무도 별로 없고, 대형창고 등만 있다. 따라서 경기도에서 차를 몰고 서울로 진입하는 운전자라면 삭막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밖에 없다.
금천구는 지난해 5월 서울시와 자치구 예산 217억원을 들여 폭포공원을 만들기로 했다. 그러나 이리저리 돈을 끌어모아도 74억원이 부족해 부지 매입도 미뤄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한인수 금천구청장은 지난 2일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숙원사업 하나만 들어달라.”고 도움을 요청했다. 오 시장은 “기간 안에 완공될 수 있도록 시비 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시가 검토중인 지원방안은 폭포공원을 ‘1동1마을공원’ 사업에 포함시키는 것. 서울시는 522개 행정동 가운데 지역공원이나 구립 어린이집이 없는 동을 대상으로 지역공원보다 작고 동네 놀이터보다는 큰 ‘마을공원’을 만들어 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2003년에 시작해 현재 16개 마을공원을 완공했다. 내년말 사업을 종료하기 전까지 폭포공원 조성사업이 추가된다면, 마지막 ‘작품’이 되는 셈이다.
금천구 관계자는 “헐리는 연립주택 주민을 포함해 구민들이 ‘어서 만들어달라.’고 입을 모은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6-11-9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