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까지 단계적 교체
서울메트로는 13일 내년 9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총 3270억원을 들여 지하철 2호선의 노후 전동차 280량을 신형 전동차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3호선의 낡은 전동차 298량도 단계적으로 2010년까지 신형 전동차로 바꾸기로 했다.
신형 전동차는 승객의 안전과 쾌적한 승차감을 주는 데 역점을 두었다.
국내 제작사 ㈜로템에서 들여오는 이 전동차는 최첨단 자동운전시스템(ATO)을 통해 정시에 정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차하도록 했다. 즉 승무원이 최초 역을 출발할 때만 버튼을 누르면 전동차가 정차역에 다가오면서 자동으로 속도가 줄어 정해진 위치에 서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정차역에서 출발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나 승무원이 승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확인한 뒤 수동으로 운전하도록 할 방침이다.
●승객 안전·쾌적한 승차감에 초점
전동차 출입문도 공기식이 아니라 전기식이기 때문에 소음이 거의 없다. 작은 이물질이 껴도 민감하게 열리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실내공기 청정시스템도 지붕이 아니라 뒤쪽에 설치했기 때문에 깨끗한 실내공기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다. 전동차 바닥과 연결 부위에 쿠션 장치가 있어서 고속전철(KTX) 수준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고 서울메트로측은 설명했다.
●외형등 세련된 디자인으로
또한 전동차 외형과 실내 손잡이, 좌석, 받침대 등의 외형도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세련된 디자인으로 바꾼다. 맨 바깥 좌석에 앉은 승객과 승차하는 승객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강화프라스틱유리도 설치했다.
이와 함께 서울메트로는 지난 달부터 승강장 확충과 전동차 출발시간 조정, 계단 분산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수도권 지하철역 가운데 가장 혼잡한 2호선 신도림역의 혼잡도를 35% 이상 개선했다고 밝혔다. 서울메트로 강경호 사장은 “이번 전동차와 승강역 개선작업은 20년 만에 노후된 부분을 고치는 만큼 승객의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6-11-14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