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 관계자는 18일 “건교부 인사는 국회가 끝나는 다음주 단행될 것”이라고 말했다.1급은 물론 연쇄적으로 국·과장급까지 모두 포함된 대규모 인사는 불가피하다.
이 장관은 지난 11일 취임사에 “인사혁신 없이는 조직혁신이 없다.”며 “인사를 밥 먹듯이 하겠다.”고 인사태풍을 예고했다.
건교부에는 부동산 정책라인의 피로도 누적 외에도 인사 요인이 많다. 전임 추병직 장관이 1년 7개월 가량 있으면서 고위직에 대한 대규모 인사가 없어 내부에서도 ‘인사가 적체됐다.’는 지적을 받는다. 또 남인회 전 기반시설본부장이 이춘희 차관의 후임으로 행정도시건설청장으로 승진해 기반시설본부장은 공석이다.
사표를 낸 1급은 권도엽 정책홍보관리실장(행정고시 21회), 강교식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상임위원(행시 22회), 이성권 물류혁신본부장(행시 23회), 황해성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부단장(기술고시 12회), 정상호 항공안전본부장(행시 23회)이다.
내년 상반기 출범 예정인 차관급인 초대 주택본부장에 권도엽 정책홍보관리실장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지만 이번 인사에서 물러나면 확신할 수 없다.
이성권 본부장은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으로, 차기 물류혁신본부장으론 정일영(행시 23회) 홍보관리관과 강영일(행시 23회) 생활교통본부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공석인 기반시설본부장에는 황해성 부단장과 함께 권진봉(기시 13회) 도로교통본부장이 후보로 오르내린다.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상임위원에는 송용찬(행시 22회) 열린우리당 전문위원의 발탁설도 나돈다.
특히 부동산 대책을 주물렀던 건교부 내 주택정책 라인(강팔문 주거복지본부장-박선호 주택정책팀장)도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된다. 잇따른 대책 실패에 따른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편 국·과장들은 3배수까지 희망 보직을 써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