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 2005년 직원이 3만명 이상인 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전환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무원 증가 폭은 사실상 8만명에 육박한다.
14일 행정자치부가 작성한 ‘역대 정부별 공무원 수’ 자료에 따르면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을 합친 전체 공무원은 지난해 말 현재 93만 3663명이다.
이는 국민의 정부 임기 말(2003년 2월) 88만 5164명보다 5.7% 증가한 것이다. 역대 정부별 공무원 수는 ▲5공화국 69만 9195명 ▲6공화국 87만 6072명(25.3%↑) ▲문민정부 91만 9404명(4.9%↑) ▲국민의 정부 88만 5164명(3.7%↓) 등이다.
지난 1997년 외환 위기 직후 구조조정을 통해 무려 3만 4040명이 감원됐던 공무원 수는 외환 위기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국가공무원은 1만 3946명 늘어났고, 지방공무원은 3만 4553명 증가했다.
지방공무원을 제외한 국가공무원 수는 ▲5공화국 47만 7146명 ▲6공화국 56만 5115명(18.4%↑) ▲문민정부 56만 1952명(0.6%↓) ▲국민의 정부 57만 6223명(2.5%↑) ▲참여정부 59만 169명(2.4%↑) 등이다.
하지만 옛 철도청 소속 직원들이 국가공무원 통계에서 빠진 만큼 실질적으로는 국가공무원 증가폭이 지방공무원 증가폭을 웃도는 셈이다.
증원된 국가공무원은 대부분 교원과 경찰, 집배원 등 대민 서비스 분야에 집중 배치됐다. 증원 인력의 분야별로는 교원이 52%, 경찰 13%, 집배원 6.4%, 교정 4.3%, 고용지원 2.4%, 재난안전 2.3% 등으로 나타났다.
부처별 증원 인력은 교육인적자원부가 3만 638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찰청 3869명, 정보통신부 2891명, 법무부 1895명, 해양경찰청 1674명, 노동부 1474명 등 현장 중심의 일선 기관에 증원 인력이 집중됐다.
행자부 관계자는 “지방공무원의 경우 사회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증원이 이뤄졌다.”면서 “경제 성장률과 인구 증가율 등을 감안할 때 공무원 증가율은 높다고 볼 수 없으며, 증원 인력도 선진국 진입 과정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분야에 집중 배치됐다.”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