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올해부터 베트남을 비롯, 러시아와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를 대상으로 한국 관련 비공개 기록물 수집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행정자치부 산하 국가기록원은 오는 10월 베트남 국립문서보존소와 ‘기록물 교류협력 협정’을 체결한다고 27일 밝혔다. 조윤명 국가기록원장은 “협정이 체결되면 베트남 현지에 있는 한국 관련 기록물을 수집·조사할 수 있다.”면서 “특히 한국군 파병이 이뤄진 베트남전 관련 기록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인 탓에 그동안 우리나라와 기록물 교류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1964년부터 1973년까지 10년 동안 5만여명의 한국군이 파병됐지만, 우리나라가 확보하고 있는 현지 자료는 전무하다시피하다.
조 원장은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의 희생은 물론, 가해자로서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료의 파급력은 클 것”이라면서 “균형적, 체계적인 시각을 갖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국가기록원은 지난 2005년부터 해외에 흩어져 있는 한국 관련 기록물 수집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말까지 37만 5000여점의 자료를 확보했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올해부터 국내 연구기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러시아·중국·베트남 등 사회주의 국가의 비공개 기록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러시아의 경우 러시아국립문서보존소가 소장하고 있는 비공개 기록, 중국에서는 현지에서 이뤄진 독립운동 및 한인 관련 기록 등이 주요 대상이다.
조 원장은 “올 한 해 동안 구한말 이후 최근까지 생산된 한국 관련 기록물 12만여점을 확보하는 게 목표”라면서 “해외에 산재해 있는 한국 관련 기록물 현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북’도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