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는 것 빼고 다 있다
강동구 성내동 543∼5번지 일대는 ‘모조 액세서리’ 거리로 통한다. 액세서리와 관련된 업체 수만 150개사에 이른다. 이 곳의 랜드마크는 9층 규모의 모조 장신구 조합빌딩.51개 업체가 둥지를 틀고 있다.
액세사리 품목은 수만가지다.‘없는 것 빼고 다 있다.’는 말이 실감날 정도다. 그래서 이들 업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쌓여가는 재고.
조합빌딩내 교문금속은 귀금속 짝퉁인 ‘신주’(구리합금)로 유명하다. 화려한 금빛의 각종 반지와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반제품이 빼곡하다. 직원은 4명에 불과하지만 매출은 수십억원에 이른다는 것이 주변 상인들의 귀띔이다. 조일상사는 헤어핀 전문업체. 손톱 크기에서 야구공 크기의 각종 헤어핀이 넘쳐난다. 수요층이 유명 연예인들의 헤어핀 스타일에 민감해서 한번 유행을 타면 가장 바빠진다.
특화구역 입구에서 20m 떨어진 삼보공예는 진주 목걸이가 전문이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울긋불긋한 무지개 색깔의 목걸이가 눈에 확 들어온다. 아프리카 추장 스타일부터 불교식 목걸이까지 다양하다. 업체 관계자는 “어떤 스타일의 주문도 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물어가는 ‘성내동 시대’
액세서리 전문 유통단지여서 고정 거래처가 많다. 국내는 남대문 상인들이, 해외에서는 일본·미국·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서 많이 찾는다. 연매출은 1000억원에 이른다.
성내동이 대한민국 ‘액세서리 1번지’가 된 것은 1994년부터다. 당시 광진구 중곡동에 모여있던 액세서리 부품 업체들이 1∼2년에 거쳐 성내동으로 옮겨왔다. 외환위기 전에는 오퍼상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당시의 구청 민원이 ‘제발 (방문객 차량들의)주차단속을 자제해 달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성내동 시대’도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다. 다들 ‘장사가 안돼 죽을 맛’이라고 입을 모은다. 모조 진주업체 사장은 “경기가 바닥이에요. 옛날 생각하면 안되지만 진짜 (경기가)죽었어요.”라고 툴툴거렸다.
비싼 인건비 때문에 업체들의 상당수가 ‘세계의 공장’중국으로 이전했다. 사무실을 갖고 있는 업체들도 공장만큼은 중국으로 옮겼다. 중국산을 역으로 수입해 국내에서 재가공하는 셈이다. 일부 업체들은 개성공단 진출과 상일동 도시개발지역으로 이전을 생각하고 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3-6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