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구성
9일 광진구의회에 따르면 국립서울병원 이전추진 특위는 전체 구의원 14명 가운데 문종철 윤호영 김수범 의원 등 10명으로 구성됐다.4선의 추윤구 의원이 위원장을 맡았다.
특위 활동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와 기대는 크다.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특수병원이 지역개발을 가로막고 있어 꼭 이전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특위는 또 주택가 한 가운데에 있는 정신병원의 위치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지하철 7호선 중곡역이 들어서면서 소음과 공해도 늘어 환자 요양에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는 입장이다.
1961년 병원이 처음 들어섰을 때에는 주변에 건물이 거의 없었다.40여년 세월이 흐르면서 집들이 들어서고, 그마저도 재개발을 앞두고 있다. 중곡역 주변 7만 3507평이 지구단위계획 구역으로 지정됐다.
●왜 이전을 추진하나
국립서울병원은 시설이 너무 낡아 리모델링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이미 10년 전인 1997년 병원의 이전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전 후보지를 찾지 못하자 돌연 이전을 보류하고 리모델링 방안을 들고 나왔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시간만 흘려보내 이제는 병원시설이 너무 낡아 사용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2005년 병원 주변이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자 주민들이 들고 일어섰다. 구 의회는 상임 특위를 만들었다. 특위는 지역 9곳에 병원 이전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지난 2월8일에는 유시민 복지부 장관을 면담하고 “병원 리모델링 방안을 일단 유보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함께 연구하자.”는 대답을 얻어냈다.
이에 따라 곧 주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청회도 준비하고 있다.
●환자 가족 설득이 과제
과거와 달리 병원을 유치하려는 후보지도 속속 나타났다. 경기도 포천시와 의왕시가 지역의 필요성을 들어 병원 유치에 나섰다. 다만 병원 직원들과 환자 가족들이 이전에 반대하는 점이다. 복지부도 이전 후보지가 서울에서 조금 멀다는 점을 마땅치 않게 여긴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추윤구 이전특위위원장 “소음 심해 요양시설 역할 못해”
“환자와 주민 모두를 위해서도 병원 이전이 불가피하다.”광진구의회 국립서울병원 이전추진 특별위원회 추윤구(64) 위원장은 9일 병원의 주변 환경이 환자에게 맞는지 냉정하게 생각해보자며 이 같이 강조했다. 추 위원장은 “병원 주변에서 전철 소음이 들리고 주변이 번잡스러운데 무슨 요양이 가능하냐.”고 되물었다. 그는 또 “병원을 지역으로 유치하려는 자치단체도 줄을 섰다.”면서 “중곡동 주민들에게 끼치는 폐해를 생각하면 이전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2007-4-10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