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은 1979년 단단한 흑단 나무로 태어났다. 원과 선으로 그렸던 그림을 작가가 입체 조각으로 제작한 것이다. 제목은 날아오르는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붙였다.
김중원 전 한일그룹 회장이 이 작품에 반했고,1986년 작가를 찾아왔다. 그는 종로에 고층빌딩을 세우는데 비상을 청동상으로 제작해 달라고 부탁했다.
작가는 김 전 회장의 부친 김한수 회장과도 가까이 지냈던 터라 기꺼이 작품을 다시 제작하기로 했다.
비상에는 작가의 독특한 세계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기하학적 곡선·원·반원 등 추상적 형태가 그렇고, 대칭성이 그렇다. 추상이면서도 곤충이나 새, 꽃 등 자연을 떠올리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문신미술관 나진희 큐레이터는 “작가는 미술이란 생명을 창조하는 작업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이 느껴진다.”고 설명했다.
좌우대칭 구도도 자연의 특징이기에 작가가 선호했다. 그러나 완벽한 대칭은 거부했다.
“사람의 얼굴을 보라. 좌우가 분명 대칭구조를 이루지만, 미세한 불균형, 비대칭성이 꿈틀거린다. 그것이 바로 자연의 본질”이라면서 작가는 이를 ‘자연스런 좌우대칭’이라 불렀다.
작품 비상을 꼼꼼히 살펴보면 불균형이 여기저기서 드러난다. 날개 크기도, 몸통 두께도 조금씩 다르다. 바닥으로 뻗은 다리도 각도가 같지 않다. 바로 이러한 비대칭이 청동이란 무생물을 생명력 넘치는 나비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차이를 인정하면 그것으로 끝일까. 작가는 한발 더 나아가길 소망했다. 그는 “다른 양쪽이 서로를 닮아가며 하나를 이루는 화합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싶다.”고 입버릇처럼 말했다. 그의 소망은 이루어졌는지 모른다.1995년 작가가 우리 곁을 떠난 뒤 비상은 목걸이, 반지 등 아트상품으로 제작됐다. 그리고 많은 연인들이 사랑을 고백하며 이 작품을 선물했다. 본시 사랑이란 다름이 아름답게 어우러지는 과정이 아닌가.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7-5-3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