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Kotra)를 찾으면 A씨는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Kotra는 해외투자무역을 하려는 기업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일단 업체에서 해외무역에 문의가 들어오면 현지 비즈니스 문화·트렌드·비용·주의사항·바이어 상담요령 등을 알려 준다.
양기모 홍보차장은 “실제 현지에 나가면 잘 모르기 때문에 무역사기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현지진출 정보는 2∼3주 정도면 보고서로 만들어진다. 비용은 약15만~20만원 정도. 현지 출장비, 인건비, 통신·우편요금까지 다 포함한 수수료 값이다.
사전보고서뿐만이 아니다.Kotra는 지사화사업을 통해 업체가 성공할 수 있도록 현지에서 중소기업 업무를 돌봐 주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의 지사역할을 해주는 셈이다. 현재 전세계 73개국 100개의 무역관에 300여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 이들은 바이어를 만나고, 샘플교류와 가격협상·전시회 참가까지 해준다. 통역과 서류번역 작업은 기본이다. 연간 250만원 정도 들지만 각종 문제 발생시 해결사 역할도 해주는 든든한 서포터다.
A씨처럼 해외무역 전문지식이 어두운 경우는 Kotra 무역아카데미를 신청하면 된다.1∼2주일 코스별로 국내 교육과 배운 것을 밖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현지 교육을 병행한다. 누구든지 원하면 브릭스(BRICS)진출과정, 베트남·미얀마 패키지과정, 국제무역 계약과정 등을 들을 수 있다.
Kotra는 업체가 타깃분야를 한국에서 유치하고 싶을 때도 도움을 준다. 국내기업과 시너지효과를 낼만한 외국기업들을 전시회, 포럼, 상담회 형식으로 끌어온다.Kotra 관계자는 “이번에 복지부가 유치한 화이자투자건도 프로젝트 매니저(PM)들이 끊임없는 물밑작업을 통해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