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27일 “2020년까지 백화점과 대형 할인점의 신규 입점을 불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대전발전연구원이 내놓은 ‘대규모 점포의 효율적인 종합 관리방안’ 최종 용역 결과에 따른 조치다.
현재 대전에는 백화점 6곳과 할인매장 11곳 등 17곳이 운영중이다. 여기에 2003년 제한조치 이전에 4곳이 허가가 나 서남부 대정지구, 노은, 대덕테크노밸리, 가오지구에 이르면 올해 말까지 1곳씩 더 문을 연다.
이는 동네 슈퍼마켓과 재래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시 관계자는 “백화점보다 할인점이 피해를 많이 끼친다.”며 “할인점만 해도 인구 15만명당 1개가 적정한데 대전은 9만 1500명당 1개이고 둔산신도시만 7곳이 몰려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시는 인구 220만명이 넘을 2020년에도 지금의 백화점과 할인점만으로 큰 불편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재래시장과 대형 마트가 이벤트를 공동 개최하고 물류창고를 함께 이용하는 등 상생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불우이웃돕기, 장학금 조성 등 지역사회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의 상품 및 금융기관 이용을 유도해 대전에서 번 자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2003년부터 12개의 할인점이 신설을 요청했으나 모두 허가하지 않았다.”며 “동구와 대덕구 주민까지 차를 몰고 둔산의 백화점과 할인점을 찾아와 지금도 그곳 재래시장과 슈퍼마켓이 타격을 입고 있어 더는 허가가 어렵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